· 경찰청, 경찰백서, 2009.
· 구병문, “미국 사이버 공간 방어 전략과 정부부문 대응방안”, 정보화정책 제10권 제1호 통권34호, 한국정보화진흥원, 2003.
· 김기봉,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보호정책의 방향과 과제”, 형사정책연구 제14권 제4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3.
· 김동환, “사이버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법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김영환, “위험사회에서의 형법을 귀속원리”, 법철학연구 제3권 제2호, 한국법철학회, 2000.
· 김종세, “사이버범죄의 법적 쟁점에 관한 고찰”, 경찰연구논집 제2호, 한국경찰이론과 실무학회, 2008.
· 김종헙,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대책”, 형사정책 제12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00.
· 김형준, “사이버범죄와 현행 형법의 대응”, 인터넷법률 제10호, 법무부, 2002.
· 나윤권, “인터넷범죄의 규제방안과 형사절차적 문제”, 경북대학교 법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박성택, “사이버 범죄의 현황과 대응방안”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윤석, “국내 사이버범죄 대응방안 개선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박창규, “사이버범죄의 실태분석과 경찰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박희영, “독일에 있어서 사이버범죄 관련 입법 및 판례의 최근 동향”, 법제 통권 제615호, 법제처, 2008.
· 백광훈, “정보통신범죄의 개념과 유형 및 분류”, 제23회 세미나, 사이버범죄연구회, 2001.
· 신한호, “해킹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경찰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양근원, “사이버범죄 현황과 대책”,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99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999.
· 양근원·임종인, “사이버범죄분석과 법률적 대응방안”, 과학상사 통권 49호, 범양사, 2004.
· 양문승, “전자상거래관련범죄와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99년도 국제범죄 학술 세미나자료, 1999.
· 오영근, “인터넷범죄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제14권 제2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3.
· 원혜욱, “인터넷범죄의 특징과 범죄유형별 처벌조항”, 한국정책연구 제11권 제2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여름호.
· 윤동호, “사이버공간에서 관세법의 금지품 수출입죄의 해석과 정책”, 법조 제58권 제12호 통권 제639호, 법조협회, 2009.
· 이보영, “사이버 범죄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22집,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 이윤석, “컴퓨터 바이러스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 위협요소와 대처방안”,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이은주, “사이버범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법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이정훈, “사이버범죄에 관한 입법동향과 전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20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 이창수, “사이버범죄의 실태와 셩찰의 대응역량 향상방안에 관한연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현영, “사이버 범죄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임효석, "사이버 범죄의 현황과 대응방안",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정완, "사이버 공간상 음란물 유통의 심각성과 법적 규제방안", 경희법학, 경의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 정완, “사이버범죄 방지를 위한 국제형사사법공조”, 인터넷법연구 제3권 제1호, 한국인터넷법학회, 2004.
· 정재봉, “사이버범죄의 실태와 동향 및 대응책”, 홍익법학 제10권 제1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 조병인, “사이버경찰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12.
· 조병인, “인터넷시대의 국제범죄와 대응전략”, 한국공안행정학회 01년도 전반기 학술회의 자료, 2001.
· 조병인·정진수·정완·탁희성, “사이버범죄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 조영표, "사이버 범죄의 실태 및 대응 방안",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최영호, “정보범죄의 현황과 제도적 대처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8.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웹 2.0시대의 정보보호”, CSO 브리핑, 2006.
· 허만영, "사이버 범죄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대응 방안",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6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0.
· 허만영·홍진표, “사이버스페이스의 범죄현황과 경찰의 대응방안”, 치안연구소, 2000.
· 허일태, “사이버 범죄의 현황과 대책”, 동아법학 제27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00.
· Wall D, 백지나(역), "정보화시대의 유비쿼터스범죄 :사이버범죄의 이해와 규제",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4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 Parke, Dann B, “Fighting Computer Crime :A New Framework for Protecting Information”, John Wileyand Sons,Inc, 1998.
· Parker·Nycum, Computer Abuse(Hrsg), von Standford Research Institute, 1973.
· Sasan W. Brenner, "Cybercrime: re-thinjing crime control strategies", Crime Online, Willan Publishing, 2007.
· Thomas, Douglas and Brain D. Loader, Cybercrime: Law Enforcement, Security and Surveillance in the Information Age, Routledge, 2000.
· Tyler R. Tom, Why people obey the law, Yale Univ. Press, 1990.
· http://www.ctrc.go.kr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http://home.dona.ac.kr/~ithuh/syber.htm (동아대학교 법과대학)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id=20050608013001 (서울신문)
· http://www.dt.co.kr/contents.htm?article_no=2010013102019922732015 (연합뉴스)
· http://www.kantei.go.jp/jp/singi/it2/index.html,2009.02.10. (일본 IT전략본부)
· http://www.kisti.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