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지도]독서지도(독서교육)의 정의, 독서지도(독서교육)의 필요성, 독서지도(독서교육)의 목적, 독서지도(독서교육)의 흥미유발, 향후 독서지도(독서교육)의 제고 방향, 시사점
- 최초 등록일
- 2013.09.02
- 최종 저작일
- 2013.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독서지도(독서교육)의 정의
Ⅲ. 독서지도(독서교육)의 필요성
Ⅳ. 독서지도(독서교육)의 목적
Ⅴ. 독서지도(독서교육)의 흥미유발
Ⅵ. 향후 독서지도(독서교육)의 제고 방향
Ⅶ.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독서는 인간 교육의 핵심에 해당한다. 이러한 인식은 널리 퍼져 있고,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 또한 매우 높다. 성장 과정에서 어떤 책을 읽어야 할 것인가 하는 데 대한 대안도 마련하지 않은바 아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수많은 독서목록이 그러한 관심을 대변해 준다.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인식과는 판이하다. 일상생활 속에서 의미있는 독서가 이루어지지 않고, 학교 교육에서 독서는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여러 가지 진단이 있다. 입시 위주의 학교교육이 독서를 할 수 없게 만든다는 것이 가장 널리 운위되는 사항이다. 그러나 입시 위주의 교육이 독서를 전적으로 장애한다고 하기 어려운 것은, 초등학교나 중학교의 경우, 모든 교육이 입시 위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고등학교의 경우는, 학생들이 입시위주의 교육 때문에 독서를 할 수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입시위주의 교육에 독서교육 부진의 모든 책임을 전가할 수는 없다.
다른 하나는 객관식 평가가 독서와 글쓰기를 장애한다는 것이다. 평가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도입된 평가방법이 교육을 전적으로 규제하는 부작용을 가져왔다. 그리고 그 결과 독서교육을 통해 깊이있는 사고를 할 수 있는 길이 막혔다는 진단이다. 또한 독서 결과를 토론하고 글로 쓰는 자기표현의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반성의 내용이다.
학생들이 어떤 책을 어떻게 골라 읽어야 할 것인가를 모르고, 교사들 또한 그러한 원칙을 모르기 때문에 독서교육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진단도 있다. 우리가 ‘독서목록’에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이유도 이것이다. 그 동안 많은 양의 독서목록과 구체성을 띠는 ‘도서목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어떤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가는 불분명하다. 그리고 독서교육을 위한 목록을 마련하는 데에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원칙 또한 모호하다.
참고 자료
김복희(2003), 독서의 생활화를 위한 과정중심 독서지도의 방법과 실제, 건국대학교
남영은(2003), 교과연계 독서지도를 통한 문학작품 읽기 능력 신장 방안, 가톨릭대학교
서정주(2005), 과정중심의 독서지도 방안 연구, 아주대학교
오정혜(2008), 통합적 독서지도가 독서 능력과 논술쓰기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이언지(2010), 토론 중심의 독서 지도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장승익(2004), 효율적인 독서 지도가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조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