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광고 이해와 분석 및 효과적인 광고전략 수립 리포트A+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광고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2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7.25 최종저작일 2013.07
26P 미리보기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광고 이해와 분석 및 효과적인 광고전략 수립 리포트A+
  • 미리보기

    소개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광고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2) 커뮤니케이션 모형
    3)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2.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요소
    1) 정보원/송신자
    (1) 고전적 조건화 이론
    (2) 정보원의 매력
    (3) 정보원의 공신력
    2) 메시지
    (1) 메시지 내용과 기호
    (2) 메시지 처리
    ① 메시지 주장의 측면성
    ② 결론의 제시
    ③ 메시지 내용의 제시 순서
    ④ 메시지 소구방법
    3) 채널
    4) 소비자
    (1) 소비자 특성에 따른 광고 전략
    (2) 광고 메시지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소비자 관련 요인
    5) 효과
    (1) 광고 효과의 전통적 위계모형
    (2) 저관여 위계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순한 촉진수단으로서만 광고를 규정해서는 광고를 정확히 이해할 수 없고, 좋은 광고도 만들 수도 없다. 광고가 우리 생활 속에서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든, 예를 들어 그것이 TV광고가 되었건, 신문의 전면광고, 인터넷의 배너 광고, DM 광고, 영화 포스터가 되었건 간에 이들의 공통된 특성은 소비자들에게 제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해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라는 것이다. 즉 광고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도구로서의 광고의 역할과 정보전달 도구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파악해야만 한다. 말하자면 마케팅적인 관점과 커뮤니케이션적인 관점을 모두 고려해야 광고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마케팅적 관점에서는 광고를 단순히 정보의 전달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촉진이나 판매에 광고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반면 커뮤니케이션적 관점에서는 광고가 기업과 소비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이므로 정보전달과 설득이라는 요소를 강조하게 된다.

    < 중 략 >

    2.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요소

    1) 정보원/송신자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정보원(source) 또는 송신자(sender)란 다른 개인 또는 집단과 정보를 공유하기 원하는 개인 또는 조직을 말한다. 이를 광고에 적용시켜본다면,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 송신자란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광고 메시지를 보내는 주체인 광고주(advertiser)나, 광고에서 광고주의 메시지를 대신 전달하는 광고 모델이 될 수 있다.
    광고에서는 특히 송신자와 관련해 ‘광고 모델의 유형별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이 실시되고 있고, 그 결과가 광고 전략수립에 이용되고 있다. 이는 동일한 내용과 형식의 광고 메시지일지라도 그것을 어떠한 상황에서 누가 전달하느냐에 따라 수용자에게 상이한 효과를 유발시킨다는 가정에 따른 것이다. 예를 들어 치약 광고에서 ‘충치예방’이라는 핵심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있어 광고 효과를 고려하여 광고 전략수립 시 인기 연예인과 같은 유명인(celebrity)을 이용할 것인지, 치과 의사와 같은 전문인을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인을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참고자료

    · 김완석, 『광고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0.
    · 김용준, 이정재, “언제 이미지광고를 할 것인가”, 『광고연구』, 1994년 봄호, pp.8-29.
    ·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 『소비자행동론』, 서울: 경문사, 1994.
    · 조병량 외, 『현대광고의 이해』, 서울: 나남, 1998.
    ·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개론(상)』, 서울: 세영사, 1988.
    · 차배근, 『설득커뮤니케이션이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 차배근 리대룡 오두범 조성겸, 『설득커뮤니케이션개론』, 서울: 나남, 1992.
    · Barnlund, Dean C,,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urvey and Studies, Boston: Houghton Miffin Co., 1968.
    · Belch, George E. and Michael A. Belch, Advertising and Promotion: A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Perspective, 4th eds., NY: McGaw-Hill, 1999.
    · Birnbaum, Micheal and Steven Stegner, “Source Credibility in Social Judgement: Bias, Expertise, and the Judge’s Pont of View,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7, 1979, pp.48-74.
    · Deutch, Karl W., “On Communication Models in the Social Sciences”,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16(Fall), 1952, pp.360-361.
    · Hovland Carl I. and W. Mandell,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Conclusion Drawing by the Communicator and by the Audience, ”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47, 1952, pp.581-588.
    · Hovland Carl I., I. L. Janis and H. H. Kelley, Communiction and Persuasion, New Haven:Yale university Press, 1953.
    · Krugman, Herbert ., “On Application of learning Theory to TV Copy Testing.” Public Opinion Quarterly, Vol.29(Fall), 1962, pp.626-639.
    · Krugman, Herbert.,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Learning Without Involvement.
    · Lavidge, Robert J. and Gary A. Steiner,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men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Vol.25(6),1961, pp.59-62.
    · Lindzey, G. and E. Aronson,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2nd ed., Mass:Addison-Wesley, 1969.
    · Myers, James H. and William H. Reynolds,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Management, Boston: Houghton mifflin, 1967.
    · Ray, Micheal L., Advertising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2.
    · Rogers, Everett M., “Mass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thiel de Sola Pool and Wilbur Schramm, eds., Handbook of Communication,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i., 1973.
    · Sandage, C. H. and Vernon Fryburger, Advertising Theory and Practice, 6th eds., Homewood, Ill: Richard D. Irwin, 1963.
    · Sawyer, Alan G. and Daniel J. Howard, “Effects of Omitting Conclusions in Advertisements to Involved and Uninvolved Audiences,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8(Nov), 1991, pp.467-474.
    · Solomon, Michael R., Consumer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6.
    · Szybillo, George J. and Richard Heslin, “Resistance to Persuasion: Inoculation Theory in a Marke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0(Nov), 1973, pp.396-403.
    · Tan, Alexis S., Mass Communication Theories and Research, 2nd ed., NY: John Wiley & Sons, 1985.
    · Wikie, Willian L., Consumer Behavior, 3rd ed., NY: John Wiley & Sons, Inc., 1994.
    · Zajonc, Robert B.,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Monograp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 1968, pp.1-2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