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백신의 발전과 미래의 백신
- 최초 등록일
- 2003.01.04
- 최종 저작일
- 2003.0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백신의 정의와 종류
Ⅱ. 수동 면역법 발견과 첫 노벨상
Ⅲ. 우리 나라의 백신
Ⅳ. 백신에 관한 최근 연구들
Ⅴ. 면역치료와 암 백신 (cancer vaccine)
Ⅵ. DNA 백신
Ⅶ. 미래의 백신
Ⅷ. "제 4의 요법" 이라 불리는 면역요법
본문내용
Ⅰ. 백신의 정의와 종류
백신이란 사람이나 동물에서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병원체 자체나 병원체의 일부 또는 병원체가 가지고 있거나 대사 과정에 배출되는 독소를 적당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병원성을 없애거나 아주 미약하게 만든 제품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두법을 비롯한 원시적 의미의 백신이 사용된 것은 수천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나 본격적으로 백신이 인류에게 도움을 주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말, 영국의 제너(Edward Jenner, 1749~1823)가 두창(천연두) 예방을 위한 종두법을 발견하면서부터이다.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파스테르(Louis Pasteur, 1812∼1895)는 닭 콜레라와 탄저병, 광견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차례로 제조하여 이후 다른 전염성 질병에 대한 백신이 개발될 수 있는 길을 터 주었다. 파스테르는 자신이 고안한 예방법에 사용한 약독화된 균을 백신(vaccine)이라 하고, 백신을 사용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을 예방 접종(vaccination)이라 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