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치경제] 저우언라이 평전을 읽고
- 최초 등록일
- 2013.06.30
- 최종 저작일
- 2012.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저우의 삶
1부 투쟁의 세월
1장 성장기
2장 혁명기
2부 권력의 세월
3장 국가건설
4장 문화대혁명
Ⅲ. 저우의 길
1) 출중한 교섭능력
2) 소박한 지도자
3) 공산주의의 유교화
4) 겸손의 2인자
5) ‘기회주의자’라는 시선
Ⅳ. 평가
본문내용
저우는 1898년 3월 5일 중국 장쑤성 화이안에서 청나라의 가난한 하급 관료 출신 집안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아버지의 제일 어린 동생이 병에 걸려 후사가 없이 죽자, 그 집안의 양자로 들어갔다. 그는 양어머니 천씨의 극진한 보살핌과 애정으로 자랐다. 이는 그의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였다. 그는 공부를 위하여 12살이 되던 1910년 큰아버지를 따라 동북지방으로 이사를 갔다. 1913년 천진의 남개 중학교에 입학한 후 1917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이는 그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당시는 점점 중국에 대한 외세의 침탈이 심해지던 시기였고 특히 일본에서 비참하게 살고 있는 자국민들의 모습을 보고 크게 놀랐다. 그는 1919년 귀국하였고 곧 5․4운동이 일어나자 ‘각오사(覺悟社)’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학생운동을 시작하였다. 평생의 반려자였던 덩잉차오를 처음 만난 것도 이 때였다. 1920년 체포되었지만 곧 석방되었고 그는 자신의 마르크스주의를 더 연구하기 위해, 서유럽에서 중국의 문제점을 찾을 해결책을 찾기 위해 근로장학생으로 프랑스 유학을 떠난다. 이곳에서 저우는 평생 공산주의자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그의 주장은 크게 4가지였는데 그것은 바로 사회주의로서 중국을 구해야 한다는 것, 혁명을 통해 군벌과 열강들을 몰아내야 한다는 것, 강한 혁명군을 통해 이를 실현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이 삼민주의(三民主義) 삼민주의 [ 三民主義 ] : 쑨원이 제창한 중국 근대 혁명의 기본 이념으로 민족주의, 민권주의, 민생주의로 이루어져 있다.
<중 략>
저우와 키신저 사이의 비밀 외교를 거쳐 1972년 2월 21일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이 베이징을 방문하여 마오쩌둥, 저우언라이와 만났다. 저우는 냉전의 종식을 알리는 바로 이 중미회담의 성사를 위해서 지대한 역할을 했다. 미국에 대한 접근에서 중국이 갈피를 잡지 못했던 것은 탈문혁의 의도를 순기고 있는 저우와 계속 혁명을 노리며 방향 전환을 모색하고 있던 마오 사이에 모순이 있었고 또 미국과 중국 사이에는 타이완 문제라고 하는 매우 성가신 쟁점이 걸려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얽혀 있는 실타래를 단칼에 잘라버린 것이 아니라 끈기 있게 용의주도하게 진행시켜 나간 사람이 바로 저우였다. 닉슨과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은 저우를 아주 높이 평가했다. 1971년 키신저는 파키스탄으로 통하는 비밀 루트를 만들어 베이징을 방문하고 돌아와 “저우는 적어도 드골에 필적하는, 내가 만난 외국의 정치가 중 ‘가장 인상적인’ 정치인”이라고 닉슨에 보고했다. 닉슨도 다음과
참고 자료
저우언라이 평전/바르바라 바르누앙, 위창건 지음/유상철 옮김/베리타스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