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인회, 『생명윤리의 철학 : 첨단생명공학의 발달에 수반된 윤리적 문제』, 철학과 현실사
· 로날드 문손, 『의료문제의 윤리적 성찰』, 단국대학교출판부, 2001
· 로버트 S. 멘델존, 『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문예출판사, 2000
· 반덕진, 『히포크라테스 선서』, 사이언스북스, 2006
· 알프레드 토버, 『어느 의사의 고백』, 지호출판사, 2003
· 제이 홀맨, 『의료윤리의 새로운 문제들』, 예영 커뮤니케이션, 1997
· 김중호, 『의학윤리란 무엇인가?, 바오로딸』, 2003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의료윤리학(의과대학 학습목표에 기초한)』, 계축문화사, 2003
· 민경찬, 『히포크라테스의 배신자들』, 무역경영사, 2000
· 아툴 가완디, 『나는 고백한다, 현대의학을』, 도서출판소소, 2003
· 미요시 모토하루,『 의사와 약에 속지 않는 법(현직의사의 용기 있는 고백)』, 랜덤하우스중앙, 2004
· 한국의료윤리학회, 『전공의를 위한 의료윤리: 사례와 해설』, 군자출판사, 2011
· 브라이언 버드, 『환자와의 대화』, 도서출판 이유, 2007
· 참고논문
· 구영모, “우리나라 의과대학병원 교수들의 의료윤리 문제들에 대한 견해”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004.
· 강명신, “외과적 혁신의 윤리 쟁점과 윤리적 규제의 필요성” 『한국의료윤리학회』
· 김선한, “신의료행위로서의 로봇 수술의 평가”, 『외과학교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2011
· 김수정,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와 생명윤리에의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생명윤리정책연구 3(2), 2009.8, 135-153
· 박하영·오윤환, “수술용 로봇기술의 효과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11
· 성영곤, “그리스 의료윤리의 이상과 실천”, 『대한의사학회』, 의사학 7, 1995.12, 123-145
· 손영수, “의학에서의 생명윤리” 『한국생명윤리학회』, 생명윤리 11(2), 2010.12, 77-84
· 李州烈, “생명의료 윤리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28, 1999.1, 32-39
· 이재율, “한국 의료제도의 현실과 개선방향”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논총 19(2), 2000.12, 63-79
· 최경석, “의료윤리와 전문직 교육”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인간연구 12, 2007.1, 218-243
· 권복규, “전문직 윤리로서의 의료윤리: 의사다움이란” 『이화여자대학교 의학교육학교실』, 의학전문대학원, 2012.
· http://blog.naver.com/dha826/60134139169 메디칼타임즈, 2011.07.12.
· http://www.dailymedi.com/news/view.html?no=720915§ion=1 데일리 메디, 2010.
· http://www.nemopan.com/panfreetalk/4690983 연예이슈, 2011.5.17.
· http://www.dcnews.in/news_list.php?code=ahh&id=622546 디시 뉴스, 201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