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 H. Stern, 『언어교수의 기본개념』, 심영택외 2인 옮김, 도서출판 하우, 1995.
· 권성호.임철일, 『교육공학 연구의 동향』, 교육과학사, 2006.
· 김신복, 『중앙공무원교육원 심포지엄 주제발표 논문』, “공무원교육훈련체계의 과제와 발전방안”, 1988.
· 김안제, 『지방행정연수』,내무부지방행정연수원, “민선자치시대 지방공무원 교육기관의 역할과 당면과제”, 1996.
·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문음사, 1996.
·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Ⅲ-글쓰기의 모든 것』,아카데미프레스, 2010. 5.
· 김영환외 3인, 『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학지사, 1996.
· 신극범 외, 『외국어 교육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1979.
· 신용진, 『영어교육공학Ⅱ』, 한국문화사, 1998.
· 오석홍, 『인사행정론』, 박영사, 1997.
· 오헌석, 『ASTD 인적자원개발 트렌드』, 학지사, 2011.
· 유영만, 『제4세대 HRD』, 학지사, 2010.
· , 『교육공학과 질적연구방법론』, 원미사, 2010.
· 이성호,『Dateline』, “럭키금성 그룹의 외국어교육 및 TOEIC운영”,
· (주)시사영어사, 1990. 1.
· , 『월간산업교육』, “외국어교육과 평가 및 Feedback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사, 1991. 12.
· 이주희 외, 총무처, “21세기를 위한 교육훈련제도의 발전방향”, 1996.
· 장하늘, 『글쓰기 표현사전』, 다산호당, 2009. 11.
· 전병만외 2인 역, 『외국어교육 접근방법과 교수법』, 홍익FLT, 1999.
· 중앙공무원교육원 교재, 『제1기 교수전략(ISD)과정』, 중앙공무원교육원, 2011. 3.
· 지방행정연수원, 『지방 핵심리더를 양성하는 세계 최고 교육기관을 향한 첫걸음』,지방행정연수원 기획협력과, 2010.
· 지방행정연수원, 『장기교육과정 발전방안』, 지방행정연수원, 2010.
· 최연식, 『CEO와 HRD』, LB, 2010.
· 김경희, “공무원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 강수정, “기업의 신입직원 영어능력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FKI미디어, 2007. 8.
· 김해근, “국내건설사의 사내 온라인 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6. 8.
· 리상섭.최효식, “한국 글로벌 기업의 해외 법인에 근무하는 현채인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 주재원의 필요역량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007.
· 박경실, “외국어학원 활성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 박우동, “기업의 어학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1990. 6.
· 안수정, “기업체 영어교육 실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 조창영, “대단위 학급에서의 효율적인 영어교육방법의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 한하민, “전산교육훈련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993. 8.
· 광주광역시, 『2005 ~ 2010 시정백서』.
· 광주광역시지방공무원교육원, 『2011년도 공무원교육훈련계획』, 2011.
· 국가전문행정연수원, 2000년 하반기 지방공무원교육발전협의회 발표자료, 2000. 9.
· Rivers, Wilga. M., Teaching Foreign language Skills, 2n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 Smith R. M., Aker, G. F., & Kidd, J. R., Handbook of Adult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