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12년의 의무교육동안 우리는 학교 교과의 하나로써 체육을 배운다. 하지만 우리가 이제까지 경험했던 체육 수업은 그다지 체계적이지 못했으며 우리 중 일부는 매 시간 땡볕아래에서 이루어지는 체육수업에 흥미조차 갖지 않았을 것이다. 이는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은 체육수업에 대하여 노는 시간 또는 쉬는 시간 등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무엇을 배운다는 인식보다는 야외활동 또는 구기운동 시간으로 치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곽은창, 박온서, 1998; 김윤희, 강신복, 2000; 진국희, 조영주, 오윤경, 2004).
본래 학교 체육의 목표는, 최근의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교육부, 2007)에서 살펴보면, “중등 학교체육에서의 목표를 신체활동을 위한, 신체활동에 관한, 신체활동을 통한 교육으로서 체, 지, 덕이 조화롭게 통합된 전인의 육성에 기여”이다. 즉,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신체활동 욕구를 충족하고 운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체력 증진과 신체기능의 발달을 추구하며, 관련된 지식을 습득,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학교체육이 명시된 목표를 잃고 좌초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우리 체육수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들은 체육수업의 질과 양이 저하로부터 오는 현상이라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 교육부(2007), 7차 교육과정 개정안, 교육인적자원부, 제2007-79호
· 곽은창(1998), 고장난 학교체육. 한국체육학회보, Vol.72, pp.9-14.
· 곽은창, 박온서(1998).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인식에 관한 주요사건기록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Vol.5 No.2, pp.57-70.
· 김동규(2005), 增補版 體育原理의 諸問題, 영남대학교 출판부
· 김인수(2002),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8
· No.2, pp.83-94.
· 김윤래, 김승재, 이광재, 김수남, 황향희(1996), 중등학교 체육수업 운영실태와 문제점 및 미래의 과제,
· 江原大學校附設 體育科學硏究所, Vol.- No.20, pp.189-201
· 김윤희, 강신복(2000), 중학생의 체육수업 걱정거리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39 No.2, pp.583-594
· 남중태(2010), 중등학교 체육시설ㆍ교구 실태가 학교 체육교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
· 류태호(1998), 교사마당 : 교육의 위기와 체육교사의 전문성, 한국체육학회보, Vol.72, pp.15-18
· 박기동, 김지훈(2009), 체육교사로 산다는 것은, 한국스포츠인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7, pp.9-33
· 손천택(1997), 중학교 체육수업의 생태학적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 No.1, pp.93-107.
· 안용규(1994), 중등학교체육과목표비교를통한체육교육의발전방향연구:한국,미국,독일,프랑스를중심으로,
· 비간행 박사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안현균, 천항욱(2012), 학교체육활동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학교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0 No.2, pp.13-29
· 이광재 ,김윤래 ,김승재 ,황향희 ,김수남(1996), 중등학교 체육수업 운영 실태와 문제점 및 미래의 과제,
· 江原大學校附設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 Vol.20, pp.189-201.
· 이영국(2010), 체육수업에 대한 현상학적 비평,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6, pp.335-349.
· 이용식(2008), 신정부의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1, pp.83-94
· 이종혁(2006), 학교체육에 대한 인식도 비교연구, 비간행 석사논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표상(2004), 학교 체육과 생활 체육의 보완적 연계를 통한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 방안,
· 한국학교체육학회지, Vol.14 No.1, pp.1-12
· 정준(2005), 고등학교 체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과 관심도 분석, 비간행 석사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진국희, 조영주, 오윤경(2004),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경남체육연구, Vol.9 No.2, pp.25-43
· 중앙일보, 체육수업 ‘설 땅’이 없다,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57738,
· 2013.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