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번역채점시 교사들의 신뢰성에대한 조사를 공동으로 조사하여 작성한 70페이지 번역방법론 논문 입니다[A+]

"번역채점시 교사들의 신뢰성에대한 조사를 공동으로 조사하여 작성한 70페이지 번역방법론 논문 입니다[A+]"에 대한 내용입니다.
7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3.04.15 최종저작일 2011.06
76P 미리보기
번역채점시 교사들의 신뢰성에대한 조사를 공동으로 조사하여 작성한 70페이지 번역방법론 논문 입니다[A+]
  • 미리보기

    목차

    0. 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2. BACKGROUND AND RATIONALE
    3. THE STUDY
    4. RESULTS
    5. CONCLUSION AND DISCUSSION
    6. REFERENCES

    본문내용

    EXECUTIVE SUMMARY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present the findings of our research int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arious methods of translation assessment. The methods examined were elfassessment, peer-assessment and teacher-assessment. In order to examine these
    methods of assessment, we conducted surveys to gain insight into the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ranslation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nts’ opinions on translation assessment, as well as assigning translation tasks to be completed by participants. These translations were then assessed by the translator, their peers, and their translation tutor, following the marking criteria employed by NAATI professionals.

    1. INTRODUCTION
    Our research team is TRAN 827 Group 4. Our topic is self-, peer- and teacher assessment
    of translations. As a research study group, we focused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ranslation assessments. We were also trying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assessments.

    참고자료

    · Al-Qinai, J. (2000).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strategies, parameters and procedures, Meta:
    · Translators Journal, 45(3), 497-519.
    · Anderman, G. & Rogers, M. (1997). What is that translation for? A functional view of translation
    · Assessment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A response to Hans G. Honig, Current Issues in Language and Society, 4(1), 56-63.
    · Bloxham, S. & West, A. (2004). Understanding the rules of the game: making peer assessment as
    · a median for developing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9(6), 721-733.
    · Boud, D. (1989). The role of self-assessment in student grading,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 Higher Education, 14(1), 20-30.
    · Brookhart, S. M. (2001). Successful students’ formative and summative uses of assessment
    · Information, Assessment in Education, 8(2), 153-169.
    · Carmines, E. G. & Zeller, R. A. (1979).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CA: Sage.
    · Golafshani, N. (2003). Understan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The Qualitative Report, 8(4), 597-607.
    · House, J. (1997).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a model revisited, Tübingen: Narr.
    · ________(2001).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Linguistic Description versus Social
    · Evaluation, Meta: Translators Journal, 46 (2), 243-257.
    · Joordens, S., Desa S. & Paré, D. (n. d.). The pedagogical anatomy of peer-assessment: dissecting
    · A peerScholar assignment. Retrieved from http://www.iiisci.org/journal/CV$/sci/pdfs/YE123VF.pdf
    · Liu, N. & Carless, D. (2006). Peer feedback: the learning element of peer assessment, Teaching
    · in Higher Education, 11(3), 279-290.
    · Melis, N. M. & Albir, A. H. (2001). Assessment in Translation Studies: Research Needs, Meta:
    · Translators Journal, 46(2), 272-287.
    · O’Farrell, C. (n.d.), Enhancing Student Learning through Assessment. Retrieved from
    · http://www.tcd.ie/CAPSL/academic_practice/worddocs/assessment_toolkit.doc
    · Orsmond, P., Merry, S. & Reiling, K. (2000). The use of student derived marking criteria in peer
    · and self-assessment, Assessment in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25(1), 23-37.
    · Raban, R. & Litchfield, A. (2007). Self and peer assessment in groupwork using TeCTra. In ICT:
    · Providing choices for learners and learning. Proceedings ascilite Singapore. Retrieved from http://www.ascilite.org.au/conferences/singapore07/procs/raban-poster.pdf
    · Robinson, B. J., Rodríguez, C. I. L. & Sánchez, M. I. T. (2006). Self-assessment in translator
    · training, Perspectives: Studies in Translatology, 14(2), 115-138.
    · Ross, J. A. (2006).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tility of self-assessment, Practical
    ·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1(10). Retrieved from http://pareonline.net/pdf/v11n10.pdf
    · Rothe-Neves, R. (n. d.).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for research Purposes: an Empirical
    · Approach. Universidade Federal de Minas Gerais. Retrieved from
    · http://www.lingoturk.com/Sources/Rui-Cadernos10.pdf
    · Sadler, D. R. (1998). Formative assessment: revisiting the territory, Assessment in Education,
    · 5(1), 77-84.
    · Stefani, L.A.J. (1994). Peer, self and tutor assessment: Relative reliabilities, Studies in Higher
    · Education, 19(1), 69-75.
    · Taras, M. (2003). To feedback or not to feedback in student self-assessment, Assessment &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8(5), 549-565.
    · Wang, B. (2010). On rater agreement and rater training, English Language Teaching, 3(1),
    · 108-112.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4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