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 와비와 사비
- 최초 등록일
- 2002.12.12
- 최종 저작일
- 2002.12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일본의 문학이란!
자세하고 명확하게 만들었습니다
목차
▲ 개 요
▲ 와비와 사비의 유래와 개념
▲ 다도에서 나타나는 와비와 사비
▲ 일본에서 느낀 실생활의 와비와 사비
▲ 영화속에 나타난 일본의 와비·사비 정서
▲ 일본 문학에서 나타나는 고유한 정서
▲ 맺 음 말
▲ 참고문헌, SITE
본문내용
▲다도에서 나타나는 와비와 사비
일본의 다도는 중국식 덩어리차 마시기에서 출발, 차문화가 개화한 14세기에는 차의 맛과 빛깔로 생산지를 가리는 상류층의 모임으로 이어졌다. 당시 상류층의 스키(연회)의 하나로 차모임을 즐겼으며 중국 도자기를 비롯한 수입 미술, 공예품을 자랑하는 자리로 삼았다. 한편 서민들도 요리아이(집회)의 하나로 차모임을 즐겼으며 나름대로 상류층의 호화로운 차문화를 흉내내었다. 15세기 후반들어 이런 차모임의 모습은 크게 바뀌었다. 밝고 눈부시고 완전한 것 대신 지는 나뭇잎처럼 어딘지 부족하고 쓸쓸한데서 아름다움을 찾는 미의식이었다. 수입도자기 대신 소박한 일본 도자기를 쓰는 등의 변화가 찾아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기풍으로 이어져 다케노 조오, 센노리큐 사제를 거쳐 곷피우기 시작했다. 다케노 조오는 와비란 말을 다도에 처음 적용했다. 와비는 은자의삶처럼 한적하게 사는 모습을 가리키는 동사 "와비루"의명사형으로 바쇼의 하이쿠에 담긴 사비의 미의식과 통한다. 사비의 동사원형 "사비루"는 녹슬거나 퇴락한 모습을 가리킨다. 따라서 와비, 사비는 퇴락하고 한적한데서 느끼는 멋이며 이것이 일본의 다도와 접목이되어 참석하는 사람의 행도오가 마음가짐, 차를 달이고 마시는과정, 필요한 도구는 물론 대화내용까지 제한해 내용과 결과보다는 치밀한 형식과 절차를 중시하는 일본의 미적구조가 된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