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3.02 최종저작일 2013.03
20P 미리보기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미리보기

    소개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론
    VI. 분석 결과
    IV. 결 론

    본문내용

    I. 서 론
    조직의 인적자원관리 분야에 대한 연구에 있어 업무성과 증진 및 이직율 감소 등 조직의 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요인들이 제기 되어왔다. 이 요인들 중 몰입이 조직유효성 향상의 유용한 지표로 판단되고 있는데 이는 몰입이라는 것이 조직구성원의 여러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즉 몰입은 구성원들의 행동과 이직율, 나아가서는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인정되고 있다. 특히 이직으로 인한 비용은 조직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인데 이러한 이직현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요인으로 몰입이 인정됨에 따라 몰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Morrow(1983)는 작업가치에 대한 작업윤리몰입, 작업장에 대한 조직몰입, 경력에 대한 몰입, 직무자체에 대한 직무몰입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Colarelli & Bishop(1990)은 직무몰입은 객관적인 과업요구에 대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단기적인 성격을 가지며 반면에 조직몰입은 여러 직무들이 관련될 수 있으며 보다 장기적이며 개인이 갖는 주관적인 직업에 관한 것이며 조직몰입은 제도적인 또는 제도의 목표에 대한 몰입인 것에 비해 자신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목표와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중 략>

    IV.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과 조직몰입에 따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으로는 크게 개인특성, 직무특성, 조직특성, 그리고 고용환경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조직몰입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요인으로는 역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이직의도로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 중 성취욕구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제의 위치의 경우 조직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내재론자 일수록 자신의 경력과 조직에 더 몰입할 것이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상반된 결과가 나타난 것은 본 연구의 대상자 특성 때문으로 보여 진다.

    참고자료

    · 고현철, 연구개발 조직구성원의 이중몰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권상철,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김동원, 베트남계 한국계 기업 노동자들의 조직몰입도와 노동조합몰입도, 미래인력센터 편, 현지화 경영과 노사문제, 1998, pp.171-227
    · 김성국?김태은, 경력개념의 변화와 미래 방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화경영논총, 제17권 제1호, 1999, pp.5-29
    · 김영진, 관광호텔 지배인의 리더십유형이 자긍심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김은상,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의 관계유형이 이직의도, 수행노력,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15권 제1호, pp.41-63
    · 김일채, 호텔종사원의 직무성과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21권 제2호, 1998
    · 강종천, 호텔관계자의 리더쉽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 몰입과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이기은, 최순재 & 박경규, 경력몰입의 결정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제9권 제2호, 2001, pp.177-214
    · 이기은?박경규, 전문직 종사자의 조직 및 전문직업에 대한 이중몰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1권 제2호, 2002년4월
    · 이기효, 이직의도 인과모형의 실증연구: 종합병원 종사원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이호진, 사회복지 전문요인의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클라이언트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임범식?탁진국, 경력몰입의 선행변인, 한국심리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2
    · 최우성, 호텔 종사원에있어 경력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최윤아, 경력몰입의 선행요인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제9권 제1호, 2000
    · 최은성, 호텔종사원에 있어 경력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 Aranya, N., Pollock, J. & Amernic, J., An Examination of Professional Commitment in Public Accounting, Accounting, Organization & Society, 6, 1981, pp.271-280
    · Aryee, S. & Debrah, Y. A., A Cross-Cultural Application of a Career planning Mod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4, 1993, pp.119-127
    · Baugh, S. G. & Roberts, R. M.,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ngineers: Conflicting or Complementing?,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41, 1994, pp.108-114
    · Becker, T. E., Foci and Bases of Commitment: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1), 1992, pp.232-244
    · Blau, G., Further Exploring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2, 1988, pp.284-297
    · Blau, G., Testing the Generalizability of a Career Commitment Measure and its Impact on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35, 1989, pp.88-103
    · Blau, G.,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8(4), 1985, pp.277-288
    · Caplan, R. D., Cobb, S., French, Jr., Van Harrison, R. & Pinneau, Jr., Job Demands and Worker Health,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75
    · Carson, K. D. & Bedeian, A. G., Career Commitment:: Construction of a Measure and Examination of Its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4, 1994, pp.237-262
    · Cherniss, C., Career Commitment in Human Service Professionals: A Biographical Study, Human Relations, 44, 1991, pp.419-437
    · Darden, W., Hampton R. & Howell, R., Career versu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Retail Salespersons Commitment, Journal of Retailing, 65, 1989, pp.80-106
    · Edwards, J. R.,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In Cooper, C. L. & Robertson, I. T.(Eds),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New York: Wiley, 1991, pp.283-357
    · Greenhaus, J. H., An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Career Salience in Vocational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 1971, pp.109-216
    · Hall, D. T., Careers in Organizations, Santa Monica, Baliff: Goodyear Publishing Co., 1976 pp.4-5
    · Iverson R. D.,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1992
    · Irving, P. G., Coleman, D. F. & Cooper, C. L., Further Assessments of a Three-Component Model of Occupational Commitment: Generalizability and Differences Across Occup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 1997, pp.444-452
    · Kanter, R. M Commitment and social organization: A study of commitment mechanism in utopian communit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4): 1968, pp.499-517.
    · Likert, R., New Patterns of Management: An Integrating Principle and an Overview, McGraw-Hill, 1961, pp.217-237
    · London, M. & Mone, E. M., Career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Work Place, San Francisco, Jossey-Bass, 1987
    · Mathieu, J. E. & Zajac, C. M.,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08, 1990, pp.171-194
    · Meyer, J. P. & Allen, N. J., Links between Work Experienc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uring the First Year of Employment :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1, 1988, pp.195-209
    · Meyer, J. P., Allen, N. J. & Smith, C. A.,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 Steers, R. M, Porter, L. w. & Bigley, G. A., Motivation and Leadership at Work, New York: McGraq-Hill, 1966.
    · Sullivan, S. E., The Changing Nature of Career: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Vol 25 No 3, 1997, pp.457-484
    · Tuma, N. B. & Grimes, A. J., A Comparison of Model of Role Orientations of Professionals on a Research-Oriented Universit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 1981, pp.187-206
    · Turneley, W. H. & Feldman, C. D."Psychological Contact Violations During Corporate Restructur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37(1), 1998. pp.71-83
    · Valencha, G. K. & Ostrom, T. M., An Abbreviated Measure of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38, 1974, pp.369-376
    · Wallance, J. E., Corporatist Contr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rofessionals: The Case of Lawyers Working in Law Firms, Social Forbes, 73, 1995, pp.811-839
    · Yoon, J. & Lim, J.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Workplace: The Case of Korean Hospital Employees", Human Relations, 52, 1999, pp.923-945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