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악장가사』, 『악학편고』, 『시용향악보』, 『대악후보』
· 김대행,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5
· 김명준, 『고려 속요 집성』, 도서출판 다운샘, 2002
· 김정규, 『고려가요』, 조선대학교출판부, 2002
· 박진태, 『한국고전가요의 구조와 역사』, 1998
· 이성주, 『(증보)고려시대의 가요』, 민속원, 1998
· 이영태, 『고려속요와 기녀』, 경인문화사, 2004
· 강명혜, 「궁중속악적 측면에서 살펴본 여요의 의미와 기능」, 『한국시가연구』1, 1997
· 강명혜, 「송축·연군의 노래로서의 <서경별곡>」, 『한국서정문학론』, 태학사, 1997
· 강미정, 「가족제도로 본 <서경별곡>의 남녀상열지사론」, 『겨레어문학』 26, 2001
· 김명준 「<서경별곡>의 구조적 긴밀성과 그 의미」, 『한국시가연구』, 한국시가학회, 2000
· 김창룡, 「서경별곡연구」, 『동방학지』 69집, 연세대, 1990
· 김화련, 「서경별곡에 나타난 체념의 미학」, 『국어국문학』11, 부산대, 1979
· 백민정, 「<서경별곡>의 시적 구조와 화자 정서의 내면적 정합성」, 『인문학연구』32, 충남대 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 서재극, 「<서경별곡>의 ‘네가시럼난디’ 재고」, 『어문학』27, 한국어문학회, 1972
· 신은경 「〈서경별곡〉과 〈정석가〉 공통삽입가요에 대한 일고찰」. 국어국문학 96집. 국어국문 학회. 1986
· 양태순, 「<서경별곡>의 종합적 고찰」, 『국어국문학』 139, 국어국문학회, 2005
· 유동석, 「고려가요 <서경별곡>에 대한 새풀이」, 『부산대 한국민족문화』 14, 1999
· 유효석, 「서경별곡의 편사의식」, 『고려가요연구의 현황과 전망』, 집문당, 1996
· 이정선, 「서경별곡의 창작배경을 통해 본 新해석」, 『한국시가연구』 27, 2009
· 이현주, 「<서경별곡>의 창작배경과 연군가적 성격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학위논문, 2007
· 임주탁, 「<서경별곡>의 텍스트독법과 생성문맥」, 『한국민족문화』19?20집, 한국민족문 화연구소, 2002
· 최용수, 「서경별곡고」, 『어문학』 48, 한국어문학회, 1986
· 허왕욱, 「<서경별곡>의 시적 구조와 화자」, 『문학교육학』 11, 한국문학교육학회, 2003
· 양주동(1947), 「서경별곡 평설」,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 장사훈(1955), 「서경별곡」, 『한글』 111, 한글학회
· 양주동(1966), 「고가요의 이미지와 구성미-서경별곡-」, 『새교육』 138, 대학교육연합회
· 서재극(1972), 「서경별곡의 '네가시럼난지'재고」, 『어문학』27, 한국어문학회
· 여증동(1973), 「서경별곡 고구」, 『청계김사엽박사송수기념논총』, 학문사
· 김화련(1979), 「서경별곡에 나타난 체념의 미학」, 『국어국문학』11, 부산대
· 권재선(1980), 「서경별곡 어석」, 『영남어문학』7, 영남어문학회
· 김옥순(1982), 「서경별곡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 『이화어문논집』 5집
· 전규태(1982), 「서경별곡 연구」,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 박진태(1983), 「<서경별곡>의 합성가요적 특성」, 『고전문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집문 당
· 천소영(1984), 「서경별곡 해석 재고」, 『홍익어문』3, 홍익대 사범대김충실(1985), 「서경별곡에 나타난 이별의 정서」,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 박진태(1985), 「청산별곡과 서경별곡의 구조」,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 최용수(1986), 「서경별곡고」, 『어문학』 48, 한국어문학회
· 신은경(1986), 「서경별곡과 정석가의 공통삽입가요에 대한 일고찰」, 『국어국문학』 96
· 정 양(1989), 「서경별곡고」, 『하남천이두선생 화갑기념논총』, 원광대
· 김창룡(1990), 「서경별곡연구」, 『동방학지』 69집, 연세대
· 박노준(1990), 「<서경별곡>의 구조와 화자의 태도」,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 윤영옥(1991), 「서경별곡」, 『고려시가의 연구』, 영남대 출판부
· 박혜숙(1992), 「서경별곡 연구의 쟁점」, 『한국고전시가작품론』, 집문당
· 한만수(1993), 「서경별곡의 욕망 간접화 현상과 사회적 의미」, 『고려가요의 문학사회확』, 경 운출판사
· 유효석(1996), 「서경별곡의 편사의식」, 『고려가요연구의 현황과 전망』, 집문당
· 강명혜(1997), 「송축·연군의 노래로서의 <서경별곡>」, 『한국서정문학론』, 태학사
· 유동석(1999), 「고려가요 <서경별곡>에 대한 새풀이」, 『부산대 한국민족문화』 14
· 김명준(2000), 「<서경별곡>의 구조적 긴밀성과 그 의미」, 『한국시가연구』, 한국시가학회
· 강미정(2001), 「가족제도로 본 <서경별곡>의 남녀상열지사론」, 『겨레어문학』 26
· 임주탁(2002), 「<서경별곡>의 텍스트독법과 생성문맥」, 『한국민족문화』19?20집, 한국민족문 화연구소,
· 양태순(2003), 「<서경별곡>과 이별민요의 이별의 양상과 정서」, 『한국고전시가의 종합적 고 찰』, 민속원
· 허왕욱(2003), 「<서경별곡>의 시적 구조와 화자」, 『문학교육학』 11, 한국문학교육학회
· 임주탁(2004), 「<서경별곡>의 텍스트 독법과 생성문맥」, 『강화천도, 그 비운의 역사와 노 래』, 새문사
· 양태순(2005), 「<서경별곡>의 종합적 고찰」, 『국어국문학』 139, 국어국문학회
· 백민정(2005), 「<서경별곡>의 시적 구조와 화자 정서의 내면적 정합성」, 『인문학연구』32,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이정선(2009), 「서경별곡의 창작배경을 통해 본 新해석」, 『한국시가연구』 27
· 이윤선(2011), 「<서경별곡>의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어문학』 114, 한국어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