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성장과 발육

신체와 두개안면의 성장과 발육과정입니다.
43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3.01.25 최종저작일 2009.06
43P 미리보기
성장과 발육
  • 미리보기

    소개

    신체와 두개안면의 성장과 발육과정입니다.

    목차

    Ⅰ. 성장
    1. 신체 부위별 성장의 다양성
    2. 개인의 다양성
    3. 성장시기의 다양성

    Ⅱ. 골의 발생 근원
    1. 연골성골형성(endochondral bone formation)
    2. 골막성골형성(intramembranous bone formation)

    Ⅲ. 두개안면 복합체 성장유형
    1. 두개관(두개전정)
    2. 두개저
    3. 상악골-비상악 복합체
    4. 하악골

    Ⅳ. 성장조절에 대한 이론
    1. 두개안면 성장의 결정 요소로서의 연골
    2. 성장에 대한 기능적 기질 이론

    Ⅴ. 안면 연조직의 성장

    Ⅵ. 최적 중첩법과 안정골구조물 중첩법
    1. 최적 중첩법
    2. 안정골구조물 중첩법

    Ⅶ. 치아의 맹출 및 치열궁의 성장
    1. 유치열기

    2. 혼합치열기
    (1) 출은 전의 맹출
    (2) 출은 후의 맹출
    (3) 맹출 순서와 시기
    (4) 절치 교환으로 인한 공간관계
    (5) 견치와 유구치 교환으로 인한 공간관계

    3. 영구치열기
    (1) 사춘기의 특징
    (2) 사춘기의 시기
    (3) 사춘기이후의 치아변화

    4. 치열궁 디멘션의 성장변화
    (1) 치열궁 페리미터
    (2) 수직피개량
    (3) 치열궁 폭경(너비)

    본문내용

    성장은 보통 생물체의 크기?무게?부피의 증가를 뜻하고, 발육과는 다른 의미로 쓰인다. 일상 형태의 변화가 따르지 않는 증량(增量)을 이른다. 발육은 복잡성의 증가와 전문성의 증가를 뜻하고 따라서 잠재성의 소실을 의미하기도 한다. 두 단어가 모두 생물체의 증가를 의미하지만 성장이 대개 해부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발육은 생리적, 행동적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Ⅰ. 성장
    신체 부위별 성장의 다양성개인의 다양성성장시기의 다양성
    1. 신체 부위별 성장의 다양성
    - 성장의 두미경사(cephalocaudal gradient of growth) - 몸길이 전체에 대한 두부의 비율 이 점차 적어진다.

    <중 략>

    출생시, 상,하악 치조돌기의 발달은 모두 미숙하다. 때때로 “태내치(natal tooth)"가 있기도 한데 일반적으로 첫번째 유치는 6개월이 지나야 맹출된다. 태내치는 치판(dental lamina)의 발육이상에 의한 과잉치일 수도 있으나, 대개의 경우에서는 정상적인 중절치가 매우 조기에 맹출한 것이다. 태내치가 완전히 정상인 경우가 있으므로 그러한 치아는 발거되어서는 안된다.
    맹출 시기는 매우 다양하다. 6개월까지의 맹출지연이나 조기맹출은 정상범주이다. 그러나 맹출순서는 통상 유지된다. 하악 중절치가 가장 먼저 맹출되고, 다른 절치들이 그뒤를 따른다.

    <중 략>

    두개의 저널에서 악궁 폭경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두개의 저널에서 악궁의 형태가 나이가 듬에 따라 taper하게 되는 것은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그 양상은 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뒤의 저널은 견치간 폭경은 거의 변화가 없고 구치간 폭경의 증가로 이것을 설명하는 반면, 앞의 저널은견치간 폭경은 줄어들고, 구치간 폭경의 변화는 거의 없다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온 것으로 그 차이를 볼 수 있다.
    여기에 관한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비교해 보면 아직 그 연구 결과가 13세 정도까지밖에 나와 있질 않아 전체 나이에 걸친 추이를 모두 볼 수는 없다. 그렇지만 13세까지의 추이를 보면 견치간 폭경과 대구치간 폭경은 상악,하악 모두에서 영구치가 나는 12세까지는 대체로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는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참고자료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28-33
    · 전국 치과대학 교정학 교수협의회/치과교정학/지성출판사/p32-35
    · Moyers R. E.: Handbook of Orthodontics. 4th ed Chicago, London, Boca Raton. Yearbook Medical Publishers, 1988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38-40
    · Graber TM: Orthodontics principles & practice Saunders 3ed:edition 1972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42-44
    · Enlow: Handbook of Facial Growth. Saunders, 2nd edi. p116-117, 1982
    · 전국 치과대학 교정학 교수협의회/치과교정학/지성출판사/p58-59
    · Enlow: Handbook of Facial Growth. Saunders, 2nd edi. p46-47, 1982
    · Copray JC, Dibbets JM, Kantomaa T: The role of condylar cartilage in the develop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gle Orthod 58:369-380, 1988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44-45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47-50
    · Proffit WR, Vig KWL, Turvey TA: Early frcture of the mandibular condyles: frequently an unsuspected cause of growth distribances, Am J Orthod 78:1-24, 1980
    · Larsson EJ, Dahlin KG: The prebalence of finger and dummy-sucking habits in European and primitive population groups, Am J Orthod 87:432-435, 1985.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76-78
    · 전국 치과대학 교정학 교수협의회/치과교정학/지성출판사/p128-129
    · Lunt RC. Law DB: A review of the chronology of calcification of deciduous teeth. J Am Dent Assoc 1974:89:599-606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78-79
    · 전국 치과대학 교정학 교수협의회/치과교정학/지성출판사/p101-103
    · Jenson BL, Kreiborg S: Development of the dentition in cleidocranial dysplasia, J Oral Pathol Med 19:89-93, 1990
    · Marks SC Jr, Schroeder HE: Tooth eruption: theories and facts, Anat Rec 245:374-393, 1996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85-88
    · Moorres CFA, Chadha JM: Available space for the incisors during dental development- agrowth study based on physiologic age, Angle Orthod 35:12-22, 1965
    · Marshell WA, Tanner JM: Puberty. In Falkner F, Tanner JM(editors): Human growth, vol2, ed 2, New York, 1986, Plenum Publishing.
    · Hunter WS. Smith BRW: Development of mandibular spacing-crowding from nine to sixteen years of age. F Can Dent Assoc 1972:38:178-185
    · Infante PF: An epidemiological study of deciduous tooth emergence and growth in white and black chilren of southeastern Michgan. Ecol Food Nutr 1975:4:117-124.
    · Lysell L. Magnusson B. Thilander B: Time and order of eruption of the primary teeth. A longitudinal study. Odontol Rev 1962:13:217-234
    · Bhaskar SN (ed): Orban's Oral Histology and Embryology. 8th ed. St Louis. CV Mosby. 1976.
    · Harris EF: A longitudinal study of arch size and form in untreated adult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11:410-427, 1997.
    · W.R. Proffit/최신치과교정학/나래출판사/제3판 p113-114
    · Melvin L. Moss: The functional matrix hypothesis revisited. AJODO. 1997:112:8-11, 221-6, 338-42, 410-7.
    · Enlow DH: "Facial Growth." Philadelphia: W.B.Saunders, 1990.
    · Ferrario VF, Sforza C, Miani A Jr, Pizzini G: A size-standardized analysis of soft-tissue facial profile during growth. AJODO 12:28-33, 1997a.
    · Snodell SF, Nanda RS, Currier GF: 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of transverse and vertical craniofacial growth. AJODO 104:471-483, 1993.
    · Ferrario VF, Sforza C, Poffio CE, Serrao G: Facial three dimensional morphometry. AJODO 109:86-93, 1996a.
    · Ferrario VF, Sforza C, Poggio CE, Schmitz JH: Three dimensional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nose. Cleft Palate Craniofac J 34:309-317, 1997b.
    · Ferrario VF, Sforza C, Poggio CE, Schmitz JH, Colombo A: Soft tissue gacial morphology related to headform: A three dimensional quantitative analysis in childhood. J Craniofac Genet Dev Biol 17:86-95, 1997c.
    · Nanda RS, Ghosh J: Facial soft tissue harmony and growth in orthodontic treatment. Sem Orthod 1:67-81, 1995.
    · Nanda RS, Meng H, Kapila S, Goorhuis J: Growth changes in the soft tissue facial profile. Angle Orthod 60:177-190, 1990.
    · Foley TF, Mamandras AH: Facial growth in females 14 to 20 years of age. AJODO 101:248-254, 1992.
    · Ferrario VF, Sforza C, Poggio CE, Schmitz JH: Craniofacial growth: A three dimensional soft tissue study from 6 years to adulthood. J Craniofac Genet Dev Biol. 1998:18:138-149.
    · Bishara SE, Jakobsen JR, Treder J, Nowak A: Arch width changes from 6 weeks to 45 years of age. AJODO 1997:111:401-9
    · 치열궁 폭경과 고경의 성장 변화에 관한 누년적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지 2000. 30(1):19-3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