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한국 해방전의 배경과 미소관계
- 최초 등록일
- 2002.11.30
- 최종 저작일
- 2002.1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해방전의 국제적 배경
1) 전후 세계질서의 재구성
2) 2차 세계대전의 결과와 새로운 국제질서
3) 미국의 세계전략
2.해방과 새로운 세계체제의 유입
1)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세계 체계적 구상
2) 분할점령
3) 미군정의 설정
3. 한국전쟁 직전의 주한 미군 철수
4. 소련의 대한정책
5. 미소의 대한정책에 대한 쟁점
6.해방후 국내정치 세력
1) 이승만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2) 한국민주당의 노선과 성격
3) 김구와 한국독립당
4) 김규식과 민족자주연맹
5) 여운형과 조선인민당
본문내용
1. 해방전의 국제적 배경
1) 전후 세계질서의 재구성
당시 한반도는 한편으로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던 민족해방운동이 가장 정열적으로 분출되고 이 민족해방운동 세력과 제국주의 세력이 갈등하고 있었으며, 또 한편으로는 미국과 소련간의 대립이 국내 정치세력과 맞물리면서 구조화되고 있었다.
전후 세계질서는 가히 세계사의 지각변동이라 할 정도로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은 제2차 세계대전의 성격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그 본질을 밝혀낼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은 세 가지의 역사적 단계를 거친다. 〈그림 1〉은 제2차 세계대전이 점차 복잡하고 발전된 양상으로 전개되어 가는 과정을 그림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 첫 번째 단계는 1939년 9월 1일 나찌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부터 시작된 제국주의간 전쟁이다. 이 단계는 세계적으로 이미 영토적 분할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진 나라'에 대해 '가지지 못한 나라'들이 영토의 재분할을 목적으로 일으킨 전쟁이다.
그러나 1941년 6월 22일 독일의 소련 침공으로부터 제국주의간 전쟁은 역사적으로 새로운 단계에 진입한다. 독일의 소련 침공으로 말미암아 사회주의 체제가 위협받게 되자 소련은 제국주의간 모순을 이용하고, 제국주의의 위협에 대한 사회주의의 수호를 위한 전쟁으로 이 전쟁을 규정하고 참전하게 된다. 이로써 제2차 세계대전은 제국주의간 전쟁이면서 제국주의와 사회주의간 전쟁이 되었다.
참고 자료
▶ 하영선지음, 『한국전쟁의 새로운 접근』, 나남, 1990
▶ 제임스 매트레이 엮음, 김철범 옮김, 『한국과 냉전』평민사, 1991
▶ Cummings, Bruce, 『한국전쟁의 기원』1,2 , 靑史, 1986
▶ 강만길,『(고쳐 쓴) 한국현대사』,창작과 비평사
▶ 한국역사연구회, 『한국현대사 / 1-4』, 풀빛,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