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 속 소나무, 금강산이 문학의 소재로 사용된 예와 의미
- 최초 등록일
- 2012.07.17
- 최종 저작일
- 2011.05
- 2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한국문학 속 수많은 자연물 중 하나인 소나무와 금강산이 문학의 소재로 이용된 예와, 각기 다른 작품들 속에서 소나무와 금강산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정리해보고, 의미 변화의 추세도 어느 정도 파악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 1p
Ⅱ. 본론 ――――――――――――― 1p
1. 시로 그린 소나무 그림
1) 머리말
2) 송죽(松竹) ―――――――――― 2p
3) 창송(蒼松)
4) 낙락장송(落落長松) ――――――― 3p
5) 송석(松石)
6) 그 외의 소나무 자료들 ――――― 6p
(1) 산문
(2) 운문
(3) 회화 ――――――――――― 8p
2. 대를 이어 섬겨 온 금강산 ―――― 9p
1) 산악 숭앙의 내력과 금강산
2) 신라시대의 금강산 ――――――― 10p
3) 고려시대의 금강산 ――――――― 11p
4) 조선시대 이후의 금강산 유람 ――― 13p
5) 근대 민족의식과 연관된 금강산 ―― 15p
6) 그 외의 금강산 자료들 ――――― 16p
(1) 기행문
(2) 운문
(3) 산문 ―――――――――――― 20p
(4) 회화 ―――――――――――― 22P
Ⅲ. 나가며 ―――――――――――― 26p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본고에서는 한국문학 속 수많은 자연물 중 하나인 소나무와 금강산이 문학의 소재로 이용된 예를 살펴보려 한다. 또 각기 다른 작품들 속에서 소나무와 금강산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정리해보고, 의미 변화의 추세도 어느 정도 파악하려 한다.
우선 소나무는 보통 장수(長壽), 기개(氣槪), 성실(誠實), 지조(志操), 생명(生命), 순결(純潔)을 상징하는데, 이렇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상징 또는 이 외의 의미를 지닌 소나무가 작품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려 한다.
또한 여러 작품들을 통해 금강산이라는 공간을 작자들이 어떻게 상상 혹은 인식하였으며, 작품을 통해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는지, 나아가 그림이나 지도, 한시나 산문 , 가사 등으로 금강산을 그려낸 까닭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Ⅱ. 본론
1. 시로 그린 소나무 그림
1) 머리말
한국문학 속엔 수많은 자연물이 등장한다. 사는 데 필요하고 가까이 두고 이용하는 것이면, 문학의 소재로 삼았다. 무엇을 어떻게 다루었는가 알아보면 우리 선인들이 생활해 온 내력이 확인 가능하다.
그런 본보기로서 소나무를 첫 번째로 들 만하다. 소나무는 재목으로 이용되었을 뿐 아니라, 잘생긴 모습을 여기저기 드리우고 있어 산과 들의 경치를 빼어나게 했다. 소나무와 가까이 지내고 그 모습을 그림으로, 시로 옮겨 놓으면서 소나무가 한갓 자연물에 그치지 않고 사람이 살아가는 마땅한 자세를 보여준다 생각하게 되었다. 소나무에 부여한 상징적 의미가 깊고 다양해 소나무는 우리 민족의 나무라 여겨 널리 숭앙하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우리가 소나무에 부여하고 있는 상징적 의미의 원천을 찾는 것이 여기서 하려는 작업이다. 소나무를 송죽(松竹) 창송(蒼松) 낙락장송(落落長松) 송석(松石) 등으로 일컬으면서, 외형을 다채롭게 그리고,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해 온 양상을 정리한다.
참고 자료
김풍기, 「금강산 설화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 전략과 실제」, 『고전과 해석 제 2집』, 2007, pp 196-197.
염은열, 「금강산 가사의 지리적 상상력과 장소 표현이 지닌 의미」, 『고전문학연구 38권』, 2010, p 3, p 31.
조동일, 『한국문학 이해의 길잡이』, 집문당, 1997, pp 3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