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코리아를 맞이하는 북한 중보기도 자료집 정치영역, 종교영역 요약
- 최초 등록일
- 2012.05.22
- 최종 저작일
- 2011.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통일 코리아를 맞이하는 중보기도 자료집 정치영역, 종교영역 요약한 파일입니다.
상세하게 되어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 북한 정치 영역의 뿌리
1)태동기
2) 과정
3) 현재
2. 남북한의 정치법과 정치이념
1) 북한의 정치법과 정치이념
2) 남한의 정치법과 정치이념
3. 남북한 정치 조직 및 운영 시스템
4. 남북의 정치 지도자
5. 남북의 통일 정책 및 외교정책
6. 남북의 인권
1. 들어가며
* 북한 종교 영역의 뿌리
1) 태동
2) 과정
* 남한 종교 영역의 뿌리
1) 태동
2) 과정
3) 현재
2. 북한의 종교법과 종교 이념
3. 남한의 종교법과 종교 이념
4. 북한 종교의 조직 및 운영 시스템
* 북한의 종교 단체
5. 남한 종교의 조직 및 운영 시스템
6. 남북의 부흥
7. 북한의 지하교회, 남한의 지상교회
본문내용
2. 북한의 종교법과 종교 이념
72년부터 30년 동안 종교 말살 정책을 시행해 옴. 특히 북한은 여러 서적에서 기독교를 미제의 식민지 통치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사상적 도구라고 명시함.
북한 종교법은 시대가 지나면서 ‘반종교 자유’에서 ‘종교자유화’ 정책으로 옮겨졌음.
“종교단체에서 행정적 행위를 한 자는 1년 이하의 교화로동에 처한다.”(257조)
-> “공민은 신앙의 자유와 반종교선전의 자유를 가진다.”(54조) 72년
-> “공민은 신앙의 자유를 갖는다. ~ ” 92년 개정
-> 실제로 종교와 신앙의 자유가 아니라 종교를 통해 대외 경제 지원을 받을 목적으로 헌법을 개정함.
-> 실제로는 종교를 믿는 사람을 교화소나 단련대에 보내는 등 처벌과 규제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음.
2009년 새로운 헌법 개정에서는 ‘김일성 제일주의’사상을 나타내고 있음.
북한에서는 종교를 인민들의 계급의식을 마비시키는 해독적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역사적 역사적으로는 착취와 억압을 합리화하기 위한 지배 계급의 사상적 도구라는 인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북한은 김일성 부자를 중심으로 하나의 종교를 만들어 그들을 신으로 추앙하며 이외의 모든 종교적 관념을 배제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