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미혜, "직장내 성희롱의 실태와 영향 요인," 「한국여성학」11권, 1995.
· , "여대생들의 성희롱 경험과 의식의 차," 「한국여성학」13권 1호, 1997.
· 국회사무처, 「성희롱 - 이제는 그만!」, 국회사무처 성희롱예방교육교재, 1999.
· 금호그룹, 「성희롱 방지 지침서」, 금호그룹 회장 부속실, 1995.
· 김경화·김태홍, "성폭력 범죄와 성희롱에 관한 법적고찰," 「동의공업대학 논문 집」1999.
· 김경희 외 편역, 「복지국가와 여성정책」, 새물결, 2000.
· 김양희, "직장여성의 성희롱 경험과 관련 정책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12호, 1995.
· 김영혜, "성범죄 사건의 피해자 조사에 대한 검토 - 피해자 진술조서를 중심으로," 「수사연구」, 2000. 3·4.
· 김엘림, "직장내 성희롱의 법적 대책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1998 여름호.
· 노동부, 「직장내 성희롱 - 예방에서 대응까지」, 1999.
· 박영호·김정인, "성적 괴롭힘(Sexual Harassment)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 조직 내에서의 여성에 대한 폭력-," 「학생생활연구」14, 1996. 6.
· 박현미, "재난발생시 여성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 고서」 210-14, 1998.
· 박흥식 외, "직장내 성희롱의 발생과 인지 - 공직사회를 중심으로," 「중앙행정논 집」8권, 1994.
· 성기영, "지성의 전당인가 성희롱 소굴인가," 「시사저널」, 1997. 6. 19.
· 신용자, "Sexual Harassment의 개념과 그 대응책의 동향," 「입법자료분석」4(1), 1992. 3.
· 신성자, "직장여성들의 성적 성가심에 대한 인식과 반응에 관한 연구 - 피해자와 가해자의 직장에서의 위계측면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통권 21호.
· 신혜숙, "성희롱에 대한 여대생의 태도유형," 「여성건강간호학회지」제1권 1호, 대 한간호학회, 1995.
· 심영희, "직장생활과 성문화 : 사무직 여성들의 일, 성, 외모에 대한 태도," 「한국여 성학」제13권 2호, 한국여성학회, 1997.
· , 「위험사회와 성폭력」, 서울 : 나남, 1998.
· , "성폭력, 성희롱 관련법의 내용과 예방대책," 「학생생활연구」, 충남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2000.
· 오정진, 「여성과 사회」, 제9호, 서울 : 창작과 비평사, 1998. 6. 10.
· 유각근, "노동계약상의 종속관계와 성희롱 : 직장내 성희롱의 형태와 성립요건," 「한남대 과학기술법연구 창간호」, 1995. 12.
· 유선영, "성희롱 사건에 대한 언론보도태도," 「신문과 방송」283호, 한국언론연구 원, 1994. 7.
· 이경자, 윤영숙외 1명, "성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 보고서」200-7
· 이성은, 직장내 성희롱의 순응과 저항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 위논문, 1995.
· 이원희 외, 「성희롱 예방에서 대처까지」, 한국생산성 본부 : (주)비·북스, 1999.
· 이재상, 「형법총론」<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