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병석, 1999, 「예기를 통해 본 중국고대의 유가교육제도와 교학이론」, 『동방한문학』 17, 동방한문학회
· 권태원 저, 2004, 『백제의 의복과 장신구』, 주류성
· 근통호일(Kondo Ko Ichi), 2005, 「백제시기의 효사상 수용과 그 의의」, 『백제연구』 42,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김경식 저, 2006, 『중국교육전개사』, 문음사
· 김기섭 저, 2000,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 김기섭 저, 2006,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 (국내편)』, 주류성
· 김동화, 1962, 「백제시대의 불교사상」, 『아세아연구』 5,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 김두진 저, 2006, 『백제의 정신세계』, 주류성
· 김상근, 1995, 「당대의 중국종교와 그 교육제도」, 『중국연구』 16, 한국 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 김익수, 2009, 「高句麗의 孝思想 정립과 民族敎育의 主體性」,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14,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8쪽
· 손명조 저, 2008, 『백제의 철기문화』, 주류성
· 신형식 저, 2005, 『백제의 대외관계』, 주류성
· 양기석, 2009, 「백제 문화의 우수성과 국제성」, 『백제문화』 4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왕괴위(Wang Goe Wi), 1995, 「위진 사회와 사상 : 언어, 문학, 사상, 정치, 종교 : 위진 남북조 사서에 보이는 어료의 가치에 대한 견해」, 『아시아문화』 11,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유남상, 1975, 「백제유학의 기반과 본질 탐구를 위한 시도」, 『백제연구』 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유남상, 1982, 「백제사상의 연구」, 『백제연구』 별책,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이왕기 저, 2006, 『백제 사찰건축의 조형과 기술』, 주류성
· 임창순, 1983, 「백제의 한문문화」, 『백제연구』 14,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장삼덕 저, 2003, 『한국교육사』, 동문사
· 정재영, 2003, 「백제의 문자생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 정재윤 저, 2007,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 (국외편)』, 주류성
· 조종업, 1975, 「백제시대 한문학의 경향에 대하여」, 『백제연구』 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증일민(Yat Man Tsang), 1990, 「위진 남북조적 학풍 - 유학적 반탄」, 『중국학보』 30, 한국중국학회
· 진상승(Shang Sheng Chen), 1996, 「분열 시대의 외교경쟁 - 위진남북조 시기 중한관계 술평」, 『동아연구』 32,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 한승(Sheng Han), 위존성, 「남북조여 백제정치 문화 관계적 연변」, 『백제연구』 2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홍윤식, 1985, 「삼국시대의 불교수용과 사회발전의 제문제」, 『마한백제문화』 8,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