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호주 산림경영계획서의 지속성에 대한 고찰 (몬트리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하여 많은 나라들이 산림경영계획서에 큰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작은 지방 정부들마저도 이러한 계획서를 제출하는 호주에서 한 산림경영계획서를 선정하여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리포트로 작성하였습니다. 호주의 다양한 제도, 법 그리고 논문들을 세세하게 살펴본 후 이에 대하여 경영계획서가 얼마만큼 반영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리포트 입니다. 모든 내용은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1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2.02.10 최종저작일 2010.12
14P 미리보기
호주 산림경영계획서의 지속성에 대한 고찰 (몬트리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 미리보기

    소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하여 많은 나라들이 산림경영계획서에 큰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작은 지방 정부들마저도 이러한 계획서를 제출하는 호주에서 한 산림경영계획서를 선정하여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리포트로 작성하였습니다. 호주의 다양한 제도, 법 그리고 논문들을 세세하게 살펴본 후 이에 대하여 경영계획서가 얼마만큼 반영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리포트 입니다. 모든 내용은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목차

    Introduction

    Fire management plan
    1) Lack of knowledge
    2) Cooperation Strategy

    Climate Change
    1) Connectivity in State Context
    2) Water Management (Blue-green Algae)
    3) Recreation Area Management
    4) Carbon Management

    Adjacent areas

    Overall trend

    Conclusion

    본문내용

    Introduction
    Over the last few decades, forests and their management have been considered increasingly important factor in public policy, especially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Hickey and Innes 2005). United Nations Forum on Forests (http://www.un.org/esa/forests/faq.html#sfm) described definition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s:
    “A universally agreed upon definition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does not exist. However, for the purposes of several regional and global processes, the following working definition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is the stewardship and use of forests and forest lands in a way, and at a rate, that maintains their biodiversity, productivity, regeneration capacity, vitality and their potential to fulfill, now and in the future, relevant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functions, at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s, and that does not cause damage to other ecosystems.” In other words, maintaining function and capacity of forest with different time and scale can be defined as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 previous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Montreal Process about the Great Otway National Park and Otway Forest Park Management Plan has shown a number of directions what to review specifically on critical review for sustainable management. Finding out an answer of a question about what is the sustainable way of the forest management, revealed that half of the indicators from Australia’s indicators are missing or poorly indicated on the management plan. This process showed what deficiencies exist on the management plan.

    참고자료

    · Andersen A. N., Cook G. D., Corbett L. K., Douglas M. M., Eager R. W., Russell-Smith J., Setterfield S. A., Willams R. J. and Woinarski J. C. Z. (2005) Fire frequency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Australian tropical savannas: implications from
    · Baccini A., Laporte N., Goetz S. J., Sun M. and Dong H. (2008) A first map of tropical Africa’s above-ground biomass derived from satellite imagery.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3, 045011 doi:10.1088/1748-9326/3/4/045011.
    · Beaumont L. J. and Hughes L. (2002) Potenti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s of latitudinally restricted Australian butterfly spec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8:954-971.
    · Becken S. and Hay J. (2007) Tourism and climate change: Risks and opportunities. Clevedon, UK: Channel View Publications.
    · Brereton R., Bennett S. and Mansergh I. (1995) Enhanced greenhouse climate change and its potential effect on selected fauna of south-eastern Australia: a trend analysis. Biology conservation 72:339-354.
    · Clarke M. F. (2008) Catering for the needs of fauna in fire management: science or just wishful thinking? Wildlife Research 35:385-394.
    · Commonwealth of Australia (1998) A framework of regional (sub-national) level criteria and indicators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in Australia.
    · Cook C. N., Hockings M. and Carter R. W. (2009) Conservation in the dark? The information used to support management decision. Front Ecol Environ 8(4):181-186.
    · CSIRO and Bureau of Meteorology (2007) Climate change in Australia: Technical report. CSIRO, Melbourne.
    · Dawson J. (1881) Australian Aborigines – The languages and Customs of several tribes of aborigines in the western district of Victoria, Australia reprinted in 1981 by Australian Institute of Aboriginal Studies, Canberra.
    · Dube O. P. (2009) Linking fire and climate: interactions with land use, vegetation, and soil.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1:161-169.
    · Gill A. M. (1981) Adaptive responses of Australian vascular plant species to fires. In ‘Fire and the Australian Biota’. (Eds A. M. Gill, R. H. Groves and I. R. Noble). Australian Academy of Science: Canberra.
    · Gurrutxaga M., Lozano P. J. and del Barrio G. (2010) GIS-based approach for incorporating the connectivity of ecological networks into regional planning. Journal for Nature Conservation 18:318-326.
    · Hein L., Metzger M. J. and Moreno A. (2009)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ourism; a case study for Spain.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1:170-178.
    · Hughes R. and Mercer D. (2009) Planning to reduce risk: the wildfire management overlay in Victoria, Australia. Geographical Research 47(2):124-141.
    · Lindenmayer D. B. (2009) Forest wildlif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The Year in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1162:284-310.
    · Murray B. C., Prisley S. P., Birdsey R. A. and Sampson R. N. (2000) Carbon sinks in the Kyoto Protocol: potential relevance for US Forests. Journal of Forestry 98(9):6-11.
    · Paerl H. W. and Hulsman J. (2009) Climate change: a catalyst for global expansion of harmful cyanobacterial blooms. Environmental Microbiology Reports 1(1):27-37
    · Parker T. J., Clancy K. M. and Mathiasen R. L. (2008) Interactions among fire, insects and pathogens in coniferous forests of the interior western United States and Canada. Agricultural and Forest Entomology 8:167-189.
    · Possingham H. P. (2001) The Business of Biodiversity: Applying Decision Theory Principles to Nature Conservation. Tela Series No. 9. The Australian Conservation Foundation. Melbourne, Australia.
    · Schwartz M., Ahas R. and Aasa A. (2006) Onset of speing starting earlier across the Northern Hemisphere. Global Change Biology 12:343-351.
    · Seebeck J. and Menkhorst P. (2000) Status and conservation of the rodents of Victoria. Wildlife Research 27:357-369.
    · Turton S., Dickson T., Hadwen W., Jorgensen B., Pham T., Simmons D., Tremblay P. and Wilson R. (2010) Developing an approach for tourism climate change assessment: evidence from hour contrasting Australian case studies. Journal of Sustainable Toru
    · Victorian Environmental Assessment Council (2004) Angahook-Otway Investigation Final Report. Available at: http://www.veac.vic.gov.au/reports/387-Full-Report.pdf [Verified 18 November 2010]
    · Waterworth R. M. and Richards G. P. (2008) Implementing Australian forest management practices into a full carbon accounting mode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2434-2443.
    · Wintle B. A. and Lindenmayer D. B. (2008) Adaptive risk management for certifiably sustainabl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6(6):1311-1319.
    · Woinarski J. C. Z., Brock C., Fisher A., Milne D. and Oliver B. (1999) Response of birds and reptiles to fire regimes on pastoral land in the Victoria River District, Northern Territory. The Rangeland Journal 21:24-38.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