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 필자는 자유주의와 역사적 고찰이라는 입장에서 이 문제를 고찰하고자한다. 자유주의가 무엇이냐는 것 자체가 논쟁의 대상이 되는 문제이지만여기서는 자유주의를, 구체적인 자연인인 개인(들)의 복지의 증진만이 사회적 현상의 판단기준이며, 모든 개인은 사회적으로 평등하며, 자유를 비롯하여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기본권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는 주장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람이 아닌 그 어떤 것(국가, 계급, 집단, 민족, 이념, 제도 등)을 위한다는 명분으로도 개인(들)에게 그가 원하지 않는 희생을 강요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자유주의는 필자의 입장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본문에서 고찰하는 바와 같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정확하게 말하면 자본주의)를 상호보완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입장이기도 하다. 민주주의라는 정치체제와 자본주의라는 경제체제는 모두 개인의 자유를 최우선시하는 자유주의를 현실에서 실천하기 위하여 브루조아계층에 의하여 발전되어 온 사회적 기본질서이기 때문이다.
· 고세훈, "영국 보수당 보수주의와 대처리즘의 일탈",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1998년도 학술심포지움 논문집,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대응』, 1998. 11. 21.
· 김수진, "민주적 코포라티즘에 관한 비판적 고찰", 나남,『사회비평』8호, 1992. 9.
· 송호근, "시장의 시대와 조합주의", 사회과학원, 『계간 사상』98 여름호.
· 이근식, "分配的 正義의 定義", {한국국제경제학회 제26차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990. 12, pp.343-373.
· ,『자유주의 사회?경제사상』, 한길사, 1999(2월 출간 예정).
· 최경구, 『조합주의 복지국가』2판, 1993. 9.
· 최영기, "한국에서의 사회적 합의에 대한 평가와 과제", 한국노동연구원?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 『노?사?정 3자협력방안에 관한 국제세미나』 1994, 3. 10.
· Arrow, Kenneth, "Distributive Justice and Desirable Ends of Economic Activity", in G. R. Feiwell(ed.), Issue
· Buchanan, James, The Limits of Liberty. Univ. of Chicago Press, 1975.
· , The Reason of Rules. Cambridge Univ. Press, 1985.
· & Tullock, G., The Calculus of Consent. Univ. of Michigan Press, 1962.
· Eucken, Walter, Grunds tze der Wirtschaftspolitik. Herausgegeben von Edith Eucken und K. Paul Hensel, A. Francke A. G. Ver
· lag, Bern; J. C. B. Mohr (Paul Siebeck), Tubingen, 1952 ; 안병직 황신준 역, 『경제정책의 원리』, 민음사, 1996. 이 책은 오위켄의 유고를 그의 부인 Edith와 Freiburg대학 동료교수였던 Hensel이 정리하여 출판한 것임.
· Hayek, Friedrich A., "The Use of Knowledge in Society", American Economic Review, Sep. 1948, in Hayek, Individualism and Economic Orde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8. Midway Reprint 1980, pp.77-91.
· , Law, Legislation, and Liberty: A New Statement of the Liberal Principles of Justice and Political Econom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vol.1, Rules and Order. 1973.
· vol.2, The Mirage of Social Justice. 1976.
· vol.3, The Political Order of a Free People. 1979.
· Keynes, John M.,'The end of laissez-faire', 이 글은 원래 1926년에 팜플렛으로 출판되었다가 그후 Essays in Persuasion(1931)에 수록되었었다. 이 글에서 인용된 것은 The Collected Writings of John Maynard Keynes. vol. IX (1972, Macmillan)이다.
· ,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MacMillan and Company Ltd., 1959(초판 1936).
· Mill, John Stuart, On Liberty, 1859. 이극찬 역, {自由論} 1990, 삼성출판사.
· , On Socialism with an introduction by Lewis S. Feuer, Prometheus Books, 1987(초판은 밀의 사후 1879 발행).
· ,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with Some of Their Applications to Social Philosophy, Collected Works of John Stuart Mill, vol<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