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선화 (2009), 『2008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노동부.
· _____ (2010), “사회적기업 3주년 성과분석”, 고용노동부.
· 김경휘․반정호(2006),「한국 상황에서의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소고」, 『노동정책연구』 6(4), 한국노동연구원.
· 김명희, 2008, “영국의 사회적기업 사례연구와 한국에의 정책적 함의”, 『사회복지정책』 33: 135~157.
· 김성기, 2009, “사회적기업 특성에 관한 쟁점과 함의”, 『사회복지정책』 36(2): 139~166.
· 김순양, 2009, “사회적기업 인증제도의 개선방안 고찰”, 『사회적기업 저널』: 68~99.
· 김신양, 2006, “사회적기업의 법제화: 유럽 및 한국의 사례”, 『도시와 빈곤』 80: 75~91.
· 김혜원(2006a),「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 방안」,『지속가능한 사회 만들기 심포지엄 자료집』, 실업극복국민재단.
· ______(2006b),「사회서비스 시장에서의 사회적 기업의 비교우위」,『기업-복지 전문가 ‘사회적 기업’ 연수보고서』,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김혜원, 박찬임, 이재원(2009), “사회적기업 시장 확대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공공조달연구”, 고용노동부.
· 노대명(2005),『사회적 일자리 활성화 및 사회적 기업 발전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노대명, 2007, “한국사회적경제의 현황과 과제: 사회적 경제의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5(2): 36~71.
· 신명호, 2008, “한국의 ‘사회적경제’ 개념정립을 위한 시론”, 『도시와 빈곤』 89: 5~45.
· 심창학, 2007, “사회적기업의 개념정의 및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유럽의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3(2): 61~85.
· 엄형식(2008), “한국의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 실업극복국민재단 함께일하는 사회
· 이도형·함요상, 2010, “제3부문의 가치발견과 활성화전략: 생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6(1): 181~214.
· 이명석·배재현·양세진, 2009, “협력적 거버넌스와 정부역할: 사회적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8(4): 146~171.
· 이은선, 2009, “사회적기업의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영국,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7(4): 364~396.
· 이정봉, 2010, “사회적기업의 노동조건 현황과 과제”, 『노동사회』 3~4:58~64.
· 장원봉, 2008, “한국사회적기업의 실태와 전망”, 『도시와 빈곤』 89: 46~74.
· 장정순, 2007, “미국의 사회적기업의 재원조달 방안”, 『한국비영리연구』 6(1): 273~318.
· 정용덕, 2002, 『거버넌스제도의 합리적 선택』, 대영문화사.
· 정선희(2005),『한국의 사회적 기업』, 다우.
· ______(2006a),『사회적 일자리 수행모델 평가』, 노동부.
· ______(2006b),『사회적 기업육성을 위한 민간자원 연계방안』, 실업극복국민재단.
· 조영복, 양용희, 김혜원(2007),“사회적기업육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대통령자문 국민경제자문회의.
· 조영복(2009), “사회적기업의 이해와 국내외 경영사례”, 사회적기업연구원.
· 조영복 역(2010), “사회적기업 국제비교”, 시그마프레스
· 조영복, 곽선화 역(2007),“사회적기업: 성공을 위한 전략”, 사회적기업연구원.
· 조영복, 곽선화 역(2007),“사회적기업 진행보고서: 성공을 위한 전략”, 사회적기업연구원.
· 조영복, 곽선화, 류정란(2010), “사회적기업 국가별 전략과 정책”, 시그마프레스.
· 조영복, 곽선화, 류정란(2010), “유럽 사회적기업 부문 정책과 사례”, 시그마프레스.
· 조영복, 곽선화, 류정란(2010), “사회적기업: 다양성과 역동성, 배경과 공헌”, 시그마프레스
· 조영복·양용희·김혜원, 2008,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사회적기업저널』: 62~89.
· 하연섭, 2003,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다산.
· 한국노동연구원(2003),『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 ______(2004),『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한국노동연구원.
· ______(2006), 「사회적 일자리 참여기관 경영역량 실태조사」 원자료.
· 한상진 외(2005),『사회적 기업, 어떻게 만들 것인가』, 실업극복국민재단.
· 홍현미라(2006),『2005년도 노동부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연구보고서』, 실업극복국민재단.
· Borzaga, C., & Defourny, J., 2001,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2001), Researching Social Enterprise, Final Report to the Small Business Service, UK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2002), Social Enterprise: A Strategy for Success, UK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2003), Public Procurement: A Toolkit for Social Enterprise, UK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2003), A Progress Report on Social Enterprise: A Strategy for Success, UK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 Kerlin, J. A., 2006, “Social Enterpris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Understanding and Learning from Difference”, Voluntas 17: 247~263.
· ____________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lobal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Voluntas 21: 162~179.
· New Economics Foundation(2004), Chasing Progress: Beyound measuring economic growth, London: NEF.
· Noya, A.(ed.), 2009, The changing Boundaries of Social Enterprise, OECD.
· Nyssens, M., 2006, Social enterprise,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