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가미노가와 슈이치, 음식 알레르기, 넥서스, 1997
· [2] 문은해, 문화적 요소가 반영된 픽토그램 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문화관광지구의 공중 화장실 픽토그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3] 최준석, 또 하나의 언어, 픽토그램, 미술세계, 320호, 2011.7
· [4] 이정욱, 픽토그램의 조형성과 그 활용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5] 윌리엄 리드웨, 그리티나 홀덴, 질 버틀러 공저, 디자인 불변의 법칙 100가지, 고려문화사, 2006
· [6] 강길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한나래, 2000
· [7] 박진숙, 픽토그램 읽기와 국제표준화,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60호, 2005
· [8] 박진숙, 그래픽심볼 국제표준화절차 및 평가법에 관한 연구 -ISO채택과정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78호, 2008
· [9] 전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 편찬위원회,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 전남대학교출판부, 2010
· [10] 남승연, 식품 알레르기의 진단과 치료,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제 3호, 2004
· [11] 강화영, 모듈시스템을 활용한 한글디자인, 백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2] 조창연, 이성남, 디자인에 있어서 모듈러 시스템 구축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중성펜 디자인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과학회, 제1권, 1998
· [13] 류재호, 일본의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에 있어서 메타몰포시스 개념의 철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 12호, 2008
· [14] 양희영, 20세기후반 이후 패션 구성 방식에 나타난 모듈러 시스템 -욜리 탱, 존 리베, 갈야 로젠펠드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제 32호, 2008
· [15] 반지은, 식물의 조형미를 통한 모듈화디자인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6] 손동화, 식품 알레르기의 대응방안과 저알레르기 식품의 개발, 한국식품과학회, 제 63호, 1999
· [17] 식품의 알레르기 표시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2
· [18] 강하니, 우리나라 식품 영양표시(가공식품, 식품접객업소) 제도의 현황, 식품과학과 산업, 3월호, 2011
· [19] 소비자안전국 식의약안전팀, 알레르기유발식품 표시실태 조사결과, 소비자안전센터, 2010
· [20] KS A 0901 공공 안내 그림표지
· [21] ISO 3864-1 Graphical symbols, Safety colours and safety signs Part 1: Design principles for safety signs in workplaces and public areas
· [22] ISO 7001, Public information symbols
· [23] ISO 9186-1, Graphical symbols -Test methods- Part 1: Methods for testing comprehensibility
· [24] ISO/TC 145/SC 2 N 490, Forms and Procedures for the maintenance work of ISO/TC 145/SC 2, 2007
· [25] Justus, Buchier, Philosophicala Writings of Peirce, Dover Publicationb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