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d R. Gurr, Why Men Rebel,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pp.24-30.
· Alex P. Schmid and Albert J. Jongnam, Political Terrorism: A New Guide to Actors, Authors, Concepts, Data Bases, Theories, and Literature, (Amsterdam: SWIDOC, 1988), pp.92-98.
· Ibid.
· 여영무, 「테러리즘과 저항권」(서울: 나남출판사, 1989), pp.47-52.
· Paul Wilkinson, Terrorism and The Liberal State, ( London: Macmilan, 1987), p.51.
· Charles W. Kegley, International terrorism, (New York: St. Matrtin Press, 1990), pp.105-107.
· Walter Laqueur, The Age of Terrorism,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1987), p. 11.
· Alex P. Schmid, 앞의 책 p.64.
· 이스라엘의 죠나단 테러연구소는 1979년 회의에서 테러리즘에 관한 정의를 위와 같이 내렸다. 이장희, “국제테러리즘에 대한 국제법적 대응과 과제,” 제31회 아시아과학연구원 학술시민포럼, p.4.에서 재인용.
· 국방대학교, 『테러리즘의 본질』(국방대학원, 1987), p.9.
· 최진태, 전게서, pp.19-20.
· Samuel P. Huntington 교수의 신념 대담, 「조선일보」 2002년 1월 1일, p. 4; Joseph Nye, Jr.의 신념 대담, 「조선일보」1월 4일, p. 9.
· 이상우 교수의 신념대담, 「조선일보」2002년 1월 3일, p. 3.
· 김경원 박사의 신념대담, 위의 글, p. 3.
· 위의 글, 푸아드 아자미 교수의 신념대담, 「조선일보」2002년 1월 5일, p. 19.
· 최운도, “9?11 테러사건의 원인분석과 미국의 세계전략변화 전망,” 한국정치학회 2001년도 연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01년 12월 14~15일, pp. 2-4 ; 이상현, “미국의 반테러전쟁과 군사안보전략,” 위의 동일 논문집, pp. 2-3 참고.
· Bernard Lewis, "The Roots of Muslim Rage,"(1990), www.theatlantic.com/issues/90sep/ rage,htm.
· Robert Fatton, Jr., "Globalization, Poverty, and Terror,"
· http://faculty.virginia.edu/mesp/Fatton-Globalization-Terror,pdf.; 최운도 위의 글, p. 2.
· Fawaz A. Gerges, The Tragedy of Arab-American Relations," Christian Science Monitor, 2001, http://www.nandotimes.com/special-reports/terrorism/opinions/v-text.
· Fatton, 위의 글.
· Dana R. Dillon and Paolo Pasicolon, "Southeast Asia and the War against Terrorism," The Heritage Foundation Backgrounder, No. 1496(October 23, 2001), pp, 3, 5.
· Huntington,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 p. 183.
· Kim R. Holmers, "The Terrorist Attack on America: Implications for U.S. Policy," The Heritage Foundation Executive Memorandum, No. 775(Sept. 14, 2001), p.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