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완전요약
*병*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요약본입니다. 목차에서 보시면 아시다시피 완역본입니다. 잘 요약되어 있으니 자료제출이나, 시험을 보실 때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겁니다.님들에게 도움이 되길...
올리고 보니까 공간이 부족해서 인지 제13장 교육정보화를 위한 우리의 준비와 제14장 수업평가와 수업장학부분이 목차에서 빠진 것 같네요.
다 있으니까 걱정 마세요.
참고로 59페이지 분량입니다. 글자 포인트는 11.
목차
제1장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1. 교육방법이란 무엇인가
2. 교육공학이란 무엇인가
3. 교육공학과 교수공학의 개념비교
4. 교육에서의 공학과 교육의 공학
5.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관계
제2장 교수-학습과정의 이해
1. 교수와 교수설계
2. 교육과정에서 학습까지
3. 계열화에 대한 이해
4. 수업과 학습
제3장 수업의 이론적 기저
1. 수업이론의 주요 요인
2. 수업이론의 주요 요인
3. 수업과 수업계획을 위한 원리
제4장 수업과 수업계획
1. 수업활동과 계획
2. 수업의 단계와 주요 활동
3. 학습지도안의 작성
제5장 강의식 수업
1. Andrews의 설명식 수업모형
2. Jacobsen 등의 설명식 수업모형
3. Ausubel의 선행조직자 모형
제6장 토의식 수업
1. 토의의 목적과 성격
2. 토의의 유형
3. 토의준비와 절차
4. 효과적인 토의식 수업의 특징
5. 토의식 수업의 장단점
제7장 발견 학습과 탐구 학습
1. 발견 탐구 학습에 관한 이론
※Bruner의 학습방법
※Bruner의 이론에 기초한 개념 획득 모형
♣듀이의 과학적 사고의 5단계
♣브루너이론의 특징
〈Massialas의 사회과 탐구학습모형〉
2. 발견 탐구를 위한 교수-학습의 유형
♣부르너가 제시하는 발견적인 학습활동의 이점
♣집단탐구수업의 단계(5단계)
3. 발견, 탐구학습을 위한 교사의 역할
4. 발견, 탐구학습을 위한 평가방법
제8장 협동학습
1.협동학습이란 무엇인가?
2. 전통적 소집단 학습과 협동학습의 비교
3. 협동학습의 장단점과 보안 방안
4. 협동학습의 모형
5 협동학습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필수 요인
6. 협동학습기술훈련
7. 협동학습의 절차와 수업기술
제9장 교수매체의 이해와 선정
1. 교수 매체의 개념
2. 교수매체의 속성
3. 커뮤니케이션의 모델과 교수체제
4. 교수 매체의 발달과정
5.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수매체의 기여도
6. 교수-학습과정에서의 교수매체의 역할
7. 교수 매체의 종류
8. 교수 매체의 선정과 활용
9. ASSURE 모델
제10장 비투시자료와 투시매체의 활용과 개발
1. 비투사자료
2. 투사매체
3.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을 위한 시각디자인
제11장 시청각매체
1. 시청각매체의 개념과 종류
2. 시청각매체의 교육적 특성과 장단점
3. 시청각매체의 활용
4. 시청각 교재의 개발 과정
5. 청각디자인의 원리
제12장 컴퓨터와 상호작용매체
1. 컴퓨터 산업의 발전과 교육의 변화
2. 컴퓨터의 개념과 구성
3.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4.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의 장점
5. 컴퓨터 보조수업
본문내용
제1장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1. 교육방법이란 무엇인가
교육방법이란 한마디로 말하자면 '교육을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말은 너무 광의적이기 때문에 충분한 대답이 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교육방법의 정의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육이란 개념과 방법의 개념을 알아야 하겠다.
우선 교육을 말하자면 개인의 심리적 측면의 관점에서 볼 때, 정범모의 정의를 인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데 한마디로 "바람직한 인간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방법이라는 말의 개념은 무엇일까?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취하는 방식이나 수단·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약간은 모호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일반적 방법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그 개념에 내포된 두 가지의 특징을 알아야 한다고 할 수 있다. 특징의 하나는 어떤 '목적'을 염두해 두고 있으며, 또한 목적은 목적에 도달하지 못한 '현재의 상태'를 반드시 전제로 한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는 이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이론적 지식'과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실행력'을 포함한다. 따라서 교육방법이란 '교육목표 달성을 목적으로 제반의 교육활동인 설계·개발·적용·관리·평가를 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과 그 지식을 실천에 옮기는 실행력'이라고 정의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