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개혁국민정당, 『당헌』, (2002. 10)
· 개혁국민정당, 『지구당 창당 매뉴얼』, (2002. 10)
· 민주당, 「당발전과 쇄신을 위한 특별대책위원회 활동 백서」, (2002. 2)
· 민주당, 『강령 당헌 당규집』, (2002.1.24 전문개정)
· 민주당, 『기본 정책』, (2002.1.20 개정)
· 민주당, 『당헌』, (2002.1.24 전문개정)
· 민주당 디지털 분과, 「국민경선 지역별 집계 결과」, (2002.3.11 - 2002.4.27)
· 민주당 신당추진위원회, 「신당의 위상과 과제」, (2002. 9)
· 민주노동당, 『강령』, (2000. 1. 29)
· 민주노동당, 『당규』, (2001. 9. 2 개정)
· 민주노동당, 『당헌』, (2001. 2. 24 개정)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개혁방안의 주요내용』, (2002. 7)
· 참여연대, 「국민경선제 도입에 관한 긴급토론회 녹취록(미발간 자료)」, (2002. 2)
· 한나라당, 「한나라당 기구표」, (2001. 12. 5)
· 한나라당 국가혁신위원회, 「반듯한 나라, 활기찬 경제, 편안한 사회」, (2002. 5. 17)
· <국내문헌>
· 단행본
· 김광수, 『선거와 정당』, (박영사, 2002)
· 김용호, 『한국정당정치의 이해』, (나남, 2001)
· 김현우, 『한국정당통합운동사』, (을유문화사, 2000)
· 손호철, 『현대한국정치』, (사회평론, 1997)
· 심지연, 『한국민주당연구:Ⅱ』, (창작과 비평사, 1984)
· 심지연, 『한국현대정당론』, (창작과 비평사, 1984)
· 안희수 편저, 『한국정당정치론』, (나남, 1995)
· 이정복, 『한국정치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 이현출, 『정당과 민주주의』, (오름, 1997)
· 임혁백, 『시장. 국가. 민주주의』, (나남, 1994)
· 임혁백, 『세계화시대의 민주주의』, (나남, 2000)
· 조희연, 『한국의 국가, 민주주의, 정치변동』, (당대, 1998)
· 최 명, 『비교정치학서설』, (법문사, 1979)
· 최장집, 『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 1996)
·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 최한수, 『현대정당론』, (을유문화사, 1993)
· 논문
· 김만흠, 「한국의 정치균열에 관한 연구:지역균열의 정치과정에 대한 구조적 접근」, 서울대 정치학과 박사학위 논문(1991)
· 김용호, 「민주화와 정당정치」, 안청시진덕규 편, 『전환기의 한국민주주의』(법문사,
· 1994)
· 박상훈, 「지역정당체제의 합리적 기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외과 박사학위 논문(1998)
· 이계희, 「권위주의정권하의 야당정치 연구: 신민당(1967-1980)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1991)
· 이정복, 「한국의 정당과 의회의 발전방향」,『한국정치연구』, 제 2호(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1990)
· 이현출, 「한국정당의 당내민주주의: 민주자유당의 구조와 운영을 중심으로」, 건국대 박사학위논문(1997)
· 조기숙, 「합리적 유권자모델과 한국의 선거분석: 여촌야도, 지역주의, 정당본위투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1992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기타
· 강명세, 「한국정당의 변화: 카르텔 정당의 ‘사회적 복귀’?」, 참여연대 국민경선제 평가토론회 발표문, (2002. 4)
· 강원택, 「영국의 정당 민주주의: 형성과 변화」,『정당의 민주화에 관한 각국 사례 비교연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공개학술심포지엄 발표문 (2002. 9)
· 김면회, 「정당 민주화와 현대 독일정치」,『정당의 민주화에 관한 각국 사례 비교연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공개학술심포지엄 발표문 (2002. 9)
· 김 욱, 「대통령-의회 관계와 정당의 역할」, 국회와 정당 관계의 재정립 토론회 발표문 (2002. 5)
· 김재홍, 「제4세대 정당의 정치노선과 시대과제」, 새천년민주당 신당추진위원회 토론회 발표문, (2002. 9)
· 박경산, 「국민경선제의 문제점」, 참여연대 국민경선제 평가토론회 발표문, (2002.4)
· 박찬표, 「한국 정당민주화의 과제 : ‘정당민주화’인가 ‘탈정당’인가?」,『정당의 민주화에 관한 각국 사례 비교연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공개학술심포지엄 발표문 (2002. 9)
· 이현우, 「국회의장의 리더십과 국회의 자율성 강화」, 국회와 정당관계의 재정립토론회 발표문, (2002. 5)
· 이현우, 「정당민주화를 위한 국민참여경선제도 검토」, 국민경선제 도입에 대한 참여연대 긴급토론회 발표문(2002. 2)
· 이현우, 「미국정당의 도전과 변화」, 『정당의 민주화에 관한 각국 사례 비교연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공개학술심포지엄 발표문 (2002. 9)
· 장 훈, “보이는 목표와 보이지 않는 결과: 1970년대 미국 민주당과 2002년 새천년 민주당 대선후보 선출과정의 개혁과 정당구조의 변동”, 『고 일여 구영록 교수 1주기 추모 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2. 11)
· 정대화, 「국민경선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평가」, 참여연대 국민경선제 평가 토론회 발표문, (2002. 4)
· 정진민, 「후보선출 제도의 개혁과 정당 민주화」, 국민경선제 도입에 대한 긴급토론회 발표문 (2002. 2)
· 조기숙, 「민주당, 어디로 어떻게 가야하나」, 새천년민주당 신당추진위원회 토론회 발표문, (2002. 9)
· 홍태영, 「일반의지의 실현으로서 국가 그리고 그 거울로서 정당」,『정당의 민주화에 관한 각국 사례 비교연구』,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공개학술심포지엄 발표문 (2002. 9)
· <외국문헌>
· Duverger, M., Political Parties , London: Methuen & Co., 1967.
· Katz, R. S., and P. Mair, eds., How Parties Organize:Chang and Adaptaion in Party Organization in Western Democracies, London: Sage, 1994.
· Michels, Robert, Political Parties: A Sociological Study Of the Oligarchical Tendencies of Political Parties, New York: The Free Press, 1962.
· Ostrogorski, M., Democracy and Organization of Political Parties, edited by Seymour Martin Lipset , Garden City: Doubleday Anchor, 1964.
· Panebianco, Angelo, Political Parties: Organzation and Power, trans. by Marc Silve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 Sartori, G., Parties and Party System, London: Cambridge Univ. Press, 1976. 어수영 옮김, 『현대정당론』(동녘,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