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기업소개
① 도요타
도요타는 종업원 수 7만 명, 연간 매출 20조엔을 상회하는 일본의 초대형 자동차 기업이다. 2000년 이후 꾸준히 기업규모를 확대 2008년 기준 841만대를 생산하여 세계 최대 규모를 기록하였다. 2009년 도요타의 생산대수는 668만대로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세계 1위를 기록하였다. (VW와 스즈키의 합병제외) <안주의(2010), p1>
<중 략>
(3) 경쟁기업, 소비자 분석
① 경쟁기업
도요타도 잠재적인 장애물이 없는 것은 아니다. 도요타라고 성공만 한 것은 결코 아니다. 도요타는 젊은층, 미니밴 그리고 풀사이즈 픽업 트럭에 포커스를 맞추었으나 초기에는 결과가 실망스러웠다. 도요타가 수익의 70%를 미국시장에서 의존 하고 있다는 것도 장애물이라 할 수 있다. 럭서리카인 렉서스 세단은 BMW에 고전하고 있다. 도요타 자동차 소유자들의 연령은 평균 46세로 고령이다. 또한 도요타 빅 셀러들은 대부분 헤드 터너(Head Tunner)들이 아니다. 도요타의 경쟁사들도 가만히 앉아 있는 것만 아니다.GM은 43억 달러를 투자해 캐딜락 구조 조정의 막바지 단계에 와있으며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GM의 품질도 전반적으로 향상 되고 있는 추세이다. GM의 리차드 왜그너 회장은 "도요타는 좋은 경쟁업체이다. 그러나 난공불락의 대상은 아니다." 라고 말했다. 닛산 CEO 인 카를로스 고센도 도요타가 집중 투자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카가 성공할 것 이라는데 동의하지 않는다. " 뚜렷한 진보가 없다"는 것이다 .
디트로이트의 `빅3` 는 엔고가 도요타를 강타 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예상을 하고 있다. 엔화가 앞으로 12 개월동안 달러달 110엔이 되면 토요타의 세전 이익은 9억불이 감소 할 것 이라는 예측과 함께 .엔고가 80년대에도 도요타에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내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그러나 도요타가 세계 시장 진출 드라이브을 걸면서 어연 30년이 지났으나 도요타는 엔화 약세가 도요타 수출을 지원한 수출 보조금이었다는 비난을 뒤집어 쓸 이유가 없다
또 한 코스트의 상당부분이 달러로 설정되어 있다. 도요타가 500개의 북미 공급업자들로부터 구매하는 부품과 자재만도 작년에 190억달러에 달해 시스코나 오라클사의 연간 판매액을 넘어서고 있다. 미국에 대한 투자는 엔고에 대한 자연스러운 헤징이 되고 있다. 미국에서 제조되는 차량들은 미국 자동차 산업의 가장 큰 수익원이다.
시장 조사기관인 에드먼드 닷 컴(Edmunds,com)에 따르면 금년 가을 도요타 자동차 1대당 평균 인센티브는 647달러로 GM의 3,812달러 포드의 3,665달러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디트로이트 빅3가 우세화력을 앞세워 소모전 벌이고 있으나 도요타를 따라잡기에는 역 부족이라는 해석이다. 도요타가 SUV 마켓에 뛰어들고 있는 이유는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더 높임으로써 현재 10% 수준인 세계 시장 점유율을 15%로 확대키위한 전략이다."미래는 풀사이즈 트럭, 럭서리, 환경 및 젊은층을 겨냥한 차" 라고 도요타 미 판매법인 COO인 제임스 프레스는 예상했다. 도요타는 `빅3`의 마지막 이윤 창출처인 픽업 트럭의 시장 점유율을 현재의 4.5%에서 더욱 확대키 위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도요타는 텍사스주 샌 앤토니오에 8억달러를 들여 생산 공장을 건설중인데 2006년까지 연산 250,000대의 트럭을 생산해 디트로이트의 `빅3` 와 본격적인 경쟁에 뛰어들 계획이다.도요타는 프리우스(Prius) 시판을 통해 현재 환경 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데 여타 경쟁사와의 격차를 더 벌리기 위해 내년 여름엔 하이브리드 렉서스 RX 330을 출시할 예정이다.
② 소비자 분석
미국 소비자 전문지 컨슈머 리포트가 5일 발표한 ‘2011년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 브랜드 조사’에서 도요타가 2010년에 이어 부동에 1위를 차지했다. 도요타는 최근 2년 동안 실시한 리콜의 영향이 감점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결과 전년 대비 도요타가 196점에서 147점으로 떨어 졌으나 포드는 141점에서 144점으로 상승해 도요타와의 격차가 줄었다.
이 표를 보면 도요타 리콜사태는 분명 큰 이미지 손실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나 북미에서의 이미지는 도표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생각처럼 큰 손실을 입지 않았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4) 도요타 4P Mix 전략
1) 제품전략(Product)
① 제품 특징
렉서스는 경쟁자들을 철저히 "벤치마킹"하여 이루어 졌다. 각각의 경쟁 차의 장점인 BMW의 고성능과 벤츠가 주는 특유의 묵직함(예를 들어 도어의 닫히는 소리), 캐딜락의 부드러운 승차감을 모방한 차가 LS400이다. 즉 LS400의 경쟁자들과 비교한 제품 특징은 제품의 장점만을 취한 완벽성이다. 감성품질을 매우 중시하여 시트의 가죽을 고르는 데만 2년이 걸렸고 원가 희생을 감수하면서 최고급 나카미찌 오디오를 장착했다.
렉서스는 미국 고급자동차의 전통을 잘 따랐다. 미국에서 고급차는 V8엔진, 대배기량의 뒷바퀴 굴림으로 인식이 되어있는데 렉서스는 이를 충실히 따랐다. 따라서 미국 소비자들에게 고급차로 쉽게 받아들여졌다. 특히 자동차 전문가들은 이러한 제품 특징들 중 한 차에 승차감과 성능을 동시에 담은 점을 격찬하였다.
· 1. 책
· 1MyNewsJapan(2010) `도요타의 어둠`, 창해
· 하세가와 요조 저, 김경인 역 (2005) 열매출판사, <렉서스, 도요타의 도전>
· 2. 논문
· ①김경환·육진범(2011), “도요타 리콜사태 1년의 교훈”, CEO Report, 2011-02, 한국자동차산업 연구소, pp.1-16
· ②감민형(2011), “글로벌 생산시스템의 리스크와 대응방안”, CEO Information, 제743호, 삼성경제 연구구소, pp.1-9, pp.18-20
· ③권성욱·정희식(2009), “도요타 쇼크의 원인과 전망”, KARI CEO Report, 2009-06, 한국자동차산업 연구소
· ④정광영(2003), “도요타에도 장애물은 있는가?”, KOTRA
· ⑤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영전략실 환견경전략팀(2010), “현대자동차 2010 지속가능성 보고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⑥안주희(2011), “최근 도요타 리콜사태가 국내산업에 미치는 영향”, 산은조사월보, 통권663호, 한국 산업은행
· ⑦김기찬(2011), “도요타 리콜사태의 원인과 시사점”, (산기협) 기술과 경영, 통권330호,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⑧김승일,권용주(2010), “도요타 사태가 한국자동차 업계에 주는 시사점”, KOSBI 중소기업 포커스 , 제4호, KOSBI 중소기업연구원 ⑨박현성(2010), “도요타 리콜사태로 본 일본기업의 위기와 시사점”, POSRI CEO Report, 포스코 경영연구소
· ⑩
· 3. 인터넷 자료
· ① http://cafe.naver.com/agendanet.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947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 리콜사태 검색-카페-도요타 리콜사태, 일본 자동차업계 신용위기 >
· ②http://ryanplee.blog.me/140100282927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리콜사태 원인 검색-블로그-[매경]도요타 리콜 사태 >
· ③http://cafe.naver.com/laroom.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290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리콜사태 원인 검색-카페-이슈 분석-도요타 리콜 사태 원인은>
· ④http://kr.blog.yahoo.com/jeongkl2/2580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리콜사태 원인 검색-블로그-도요타의 리콜사태의 원인과 대응의 해설 >
· ⑤http://blog.naver.com/soonha1967?Redirect=Log&logNo=120102578011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의리콜사태 원인 검색-블로그-도요타 리콜사태의 발생 원인과 교훈 (KIEP)>
· ⑥http://blog.naver.com/sjc0123?Redirect=Log&logNo=11426098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의 성공요인 검색-블로그-도요타의 성공요인’ 분석
· ⑦http://caranddriving.net/3015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의 리콜과 판매실적 검색-블로그-토요타의 리콜과 판매 실적의 하락... 그 반성의 다짐>
· ⑧http://blog.naver.com/smkzizi?Redirect=Log&logNo=140104172435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 사태 한국자동차 검색-블로그-도요타 사태가 한국 자동차 업계에 주는 시사점>
· ⑨http://blog.naver.com/ksg460?Redirect=Log&logNo=30100331579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 미쓰비시 검색-블로그-美 소비자, ‘도요타 굿! 미쓰비시 낫굿!’
· ⑩http://www.globalwindow.org/wps/portal/gw2/kcxml/04_Sj9SPykssy0xPLMnMz0vM0Y_
· QjzKLd423CDQASYGZAR76kehiXiYIsSB9b31fj_zcVP0A_YLc0IhyR0dFAHPA0Kw!/delta/base64xml/L3dJdyEvd0ZNQUFzQUMvNElVRS82X0VfOEw3?1=1&workdist=read&id=2087415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 장애물 검색-전문정보-도요타에도 장애물은 있는가?, KOTRA>
· ⑪http://www.globalwindow.org/wps/portal/gw2/kcxml/04_Sj9SPykssy0xPLMnMz0vM0Y
· _QjzKLd423CDQASYGZAR76kehiXiYIsSB9b31fj_zcVP0A_YLc0IhyR0dFAHPA0Kw!/delta/base64xml/L3dJdyEvd0ZNQUFzQUMvNElVRS82X0VfOEw2?1=1&workdist=read&id=2131279
· <네이버(www.naver.com)-도요타 리콜사태 검색-블로그-美, 도요타 리콜사태 그 후 1년 (KOTRA)
· 3. 기타(신문 등)
· ①매일경제, 2010년 4월 3일, 기사명: 도요타, 미국서 자동차 판매 급증…3월 41%↑
· ②세계일보, 2010년 11월 4일, 기사명: 도요타, 리콜 사태 후 고객 신뢰 중요성 배워
· ③한국일보, 2010년 11월 8일, 기사명: 도요타 ‘와신상담
· ④YTN, 2010년 1월 22일, 기사명: 도요타, 미국 시장 230만대 리콜
· ⑤아주 경제, 2010년 11월 25일, 기사명: 도요타 리콜 사태 후 여전히 위기 모드
· ⑥BBS, 2010년 3월 3일, 기사명: [뉴스파노라마]<신춘기획1>도요타 사태, 왜 발생했나
· ⑦동아일보, 2010년 12월 16일, 기사명: 올해 국내서 차 112종 23만8984대 리콜
· ⑧이데일리, 2010년 7월 6일, 기사명: 리콜 시달린 도요타, 품질개선 `특단조치`
· ⑨네이버 뉴스, 2011년 2월9일, 기사명: "전자장치 이상없다"…도요타, 누명 벗어도 오명 남아
· ⑩아시아 투데이, 2010월 16일, 기사명: 도요타·혼다, 美시장 점유율 12년만에 하락
· ⑪아크로팬. 2010년 1월 28일, 기사명: 현대자동차, 2009년 경영실적 발표
· ⑫경향신문, 2011년 3월 21일, 기사명: 현대차 아반떼, 美서 18만8000대 리콜 ‘에어백 결함’
· ⑬한겨레, 2010년 9월 26일, 기사명: 현대차, 미국 생산 쏘나타YF 리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