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명세 편 (1999), {경제위기와 사회협약}, 세종연구소.
· 금융감독원 (2000a), {1999년도 연차보고서}.
· 금융감독원 (2000b), {은행경영통계}.
· 기획예산처 (2000), {2001 나라살림}.
· 김균·박순성 (1998), [김대중정부의 경제정책과 신자유주의], {위기, 그리고 대전환: 새로운 한국경제 패러다임을 찾아서}, 당대.
· 김기원 (2000a), [김대중정부의 구조조정정책], 민교협 심포지움, 11. 20.
· 김기원 (2000b), [재벌개혁을 둘러싼 쟁점], {구조조정의 정치경제학과 21세기 한국경제}, 풀빛.
· 김기원 (1999), [IMF사태 이후 재벌의 구조조정], {IMF관리 후 한국의 경제정책}, 새날.
· 박영철·김동원·박경서 (2000), {금융·기업구조조정-미완의 개혁}, 삼성경제연구소.
· 배영목 (1999), [금융 자율화와 금융시장의 발전], {한국경제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새날.
· 유철규 (2000a), [금융구조조정과 부실채권: 경제위기 반복의 가능성], {동향과전망}, 겨울호.
· 유철규 (2000b), ['98∼'99 구조조정의 정치경제학], {구조조정의 정치경제학과 21세기 한국경제}, 풀빛.
· 이병천 (1999a), [한국의 경제위기와 IMF체제―종속적 신자유주의의 모험], {사회경제평론}, 제13호.
· 이병천 (1999b), [한국 경제정책 패러다임의 반성과 전환], {한국경제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새날.
· 이병천 (1998), [발전국가 자본주의와 발전 딜레마], {위기, 그리고 대전환: 새로운 한국경제 패러다임을 찾아서}, 당대.
· 이제민 (1999), [한국의 경제발전: 기적, 위기와 대전환], {한국경제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새날.
· 이찬근 외 (2000), {한국금융산업의 대안적 비전개발-앵글로아메리칸형 금융개혁의 반성},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 장하준·박홍재 (2000), [한국의 대기업정책에 대한 대안적 모색-산업정책, 금융규제, 그리고 정치적 민주화], {한국재벌 미래는 있는가}, 매일경제신문사.
· 전창환 (2000), [금융세계화와 세기말 미국자본주의], {미국자본주의 모델에 대한 비판적 평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시리즈 2000-02.
· 정태인 (1998), [한국 경제위기와 개혁과제], {동향과전망}, 여름호.
· 조영무 (2000), [금융시장 불균형현상의 진단과 처방], {LG주간경제}, 11월 29일.
· 조영철 (2001a), [미국의 기업지배구조-주주자본주의의 신화와 전망], {미국식자본주의와 사회민주적 대안}, 당대.
· 조영철 (2001b), [세계화와 사회민주적 대안의 조건], {미국식자본주의와 사회민주적 대안}, 당대.
· 조영철 (2001c), [독일의 기업금융과 라인모델의 전망], {사회경제평론}, 제16호, 한국사회경제학회.
· 조영철 (2001d), [독일의 기업지배구조-세계화의 물결과 협력적 경영자자본주의의 명암], {미국식자본주의와 사회민주적 대안}, 당대.
· 조영철 (1999), [차입의존경제와 재벌 개혁], {사회경제평론} 제12호, 한국사회경제학회.
· 조영철 (1998), [국가후퇴와 한국경제발전모델의 전환], {위기, 그리고 대전환: 새로운 한국경제 패러다임을 찾아서}, 당대.
· 조영철 (1997a), {스웨덴 복지<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