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 곽대중,「전(前) 핵위기, 1992~1994년을 되돌아본다」,『(사)시대정신』, 시대정신 1-2호 2003.
· 김강녕, 「북한의 핵보유 선언과 우리의 대응」, 『한국통일전략학회』,통일전략 제7집 2005
· 김일수,「북한의 대미정책과 핵협상: 김정일의 인식을 중심으로」,『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제 48권, 2008
· 김창희, 「북핵문제에 대한 북미간 갈등과 6자회담」,『한국동북아연구회』한국동북아논총 제42집, 2007
· 노병렬,「미국 핵정책의 변화와 한국의 안보전략」, 『국제정치논문』,국제정치논총 제42집 1호 2002
· 로져 맥클린 지음, 이규억 역 『게임이론』, (주) 시그마프레스 2008
· 박용수, 「1990년대 이후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 “푸에블로호 사건”과 비교해 본 제 1,2차 “북핵위기”의 특징」,『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47권 2호, 2007
· 박인휘,「북핵문제의 복합성, 미국의 딜레마, 그리고 동북아 안보의 변화」,『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8권 2호, 2007
· 박헌옥,「북,미 핵협상과 한,미 군사동맹관계 전망」,『한국군사학회』, 군사논단 제54권, 2008
· 손병선,「북한 핵실험과 북미간 외교정책의 변화」,『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32권 1호, 2008
· 송은희,「북핵을 둘러싼 미,북관계에 관한 연구」,『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제49권, 2008
· 우승지,「2.13.합의 이후 북한의 핵전략과 대남전략에 대한 분석」,『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9권1호, 2007
· 윤황,「북한의 핵 개발 실태와 핵 능력 평가」, 『한국통일전략학회』,통일전략 제7집 2005.
· 이명수, 「북한의 핵카드 정책과 북미관계의 변화: 클린턴, 부시, 오바마의 대북정책의 연계와 단절을 중심으로」,『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제52권, 2009
· 이상환,「제3세계 국가들의 핵정책 사례 연구」,『한국전략문제연구소』,국방정책연구보고서 제2권4호 2004
· 이재봉,「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미국의 대북정책.」, 『북한연구학회』,북한연구학회보 제7권 제2호 2003.
· 이종철,「미국 외교정책의 연속성과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동서연구 제21권 1호, 2009이진우,『도덕의 담론』, 문예출판사, 1997
· 장옥임,「미국의 대북 정책 추진 현황과 전망」,『국제정치학회』,통일연구원 공동기획1 2006
· 전호훤,「학술논문: 미국의 대북정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한국군사학회』, 군사논단 제57권, 2009
· 정희태, 「북핵위기 사례를 통해 본 북한의 위기관리 연구 -제1,2차 북핵위기를 중심으로」,『한국정치정보학회』정치정보연구 제10권 1호, 2007
· 조윤영, 「북핵 위기와 비핵, 개방, 3000의 대북정책」,『한국정치정보학회』정치정보연구 제12권 1호, 2009
· 홍관희, 「북핵협상을 통해 본 미국의 대북정책: 제4차 6자회담을 중심으로」,『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연구 제8권 2호, 2005
· 홍성후,「게임이론을 통해 본 북행 6자회담: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제50권, 2009
· 홍순식,「미국의 대북경제제재 실효성: 리비아 사례와 비교」,『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제53권, 2007
· Poundstone, William,『죄수의 딜레마: 존 폰 노이만,핵폭탄,게임이론』양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