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서거정과 김시습은 동시대를 살았으나 각자의 다른 처지에서 극명히 대조되는 삶을 살았다. 서거정은 권근의 외손이라는 탄탄한 가문적 배경이 있었으나 김시습은 무반계통의 관직을 지냈을 뿐 권력과는 거리가 먼 가문 출신이었다. 그들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면 스승 이계전 아래에서 동문수학 했다는 것과 어렸을 때부터 천재성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삶의 양상은 세조반정 이후 180도로 달라졌다. 서거정은 세조반정에 동의하여 관료문인으로서 정치계에서 탄탄대로를 밟아갔지만 김시습은 세조반정에 저항하여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방외인으로서 전국 각지를 떠돌아다니게 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이들의 문학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고 그들의 문학은 그들의 인생만큼이나 다른 양상을 보였다. 서거정의 문학은 넉넉함, 화려함, 한가로움, 화(和) 등이 어울리는 반면 김시습의 문학은 치열함, 진솔함, 한(限), 불화(不和) 등으로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평행선만을 걸었던 것은 아니다. 서거정과 김시습은 동문수학의 경험으로 서로 알고 지낸 사이였으나, 막역하지는 않다가 30대 이후 김시습이 서거정에게 시를 지어달라고 부탁하는 등 교류를 청해왔고 이후로 계속 시를 주고받았다. 그러나 서거정은 김시습을 시를 잘 짓는 사람, 사상이 독특한 사람 정도로 여길 뿐이었고, 김시습은 서거정에게 벼슬하는 것과 초야에 은거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나은가 하는 질문을 던지는 등 그들의 사이는 체제를 비판하는 사람과 관각 문인이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던 듯하다.
시대적 격변으로 나뉜 입장은 동시대를 살았던 두 인물을 완전히 다른 길을 걷게 했다. 그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나름의 문학적 업적을 이루어 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두 인물을 라이벌로 설정하고 이들의 삶과 문학을 각자가 속한 문인유형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들의 생애, 한시, 문, 설화류, 정치관, 국가관 등의 사상을 비교해 보고 그들의 속한 집단이 가지는 성격, 집단 속에서 각각의 위치, 집단 속에서 부각되는 각자의 개성 등을 논의해 보편성과 특수성의 원리 속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두 인물 간의 비교․대조는 한 시대의 문학사적 단편을 알아보는 현미경이 될 것이다.
· 단행본
· 강동역, 조선 지식인의 문학과 현실인식, 박이정, 2008.
· 이이화, 조선인은 조선의 시를 쓰라, 김영사, 2008.
· 김갑기,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세문사, 2007.
· 정길수 편역, 길 위의 노래, 돌베개, 2006.
· 정출헌 외 3인, 고전문학사의 라이벌, 한겨레 출판, 2006.
· 김시습, 류수, 김주철 역, 금오신화에 쓰노라, 보리, 2005.
· 조영호, 15세기 관료문인의 한시연구, 한국학술정보, 2005.
· 심경호, 김시습 평전, 돌베개, 2003.
· 김시습, 심경호 역, (매월당 김시습)금오신화, 홍익출판사, 2000.
· 이종묵 외 3인, 서거정 문학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 허경진, 한국의 한시 - 서거정 시선, 평민사, 1994.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89.
· 논문
· 박성진, 금오신화 방외적 특성 연구. 강원대학교, 2008.
· 윤인현, 동인시화로 살펴본 서거정의 격률론적 한시비평,2008, p.30-32.
· 정출현, 서거정과 김시습:조선 전기 사대부 문인의 두 초상, 2005.
· 정희진, 『금오신화』의 현대적 계승 및 변용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4.
· 김기림, 서거정 기문에 나타난 서술전략 고찰, 2003.
· 김재룡, 조선 전기 매화시 연구 : 서거정·김시습·이황을 중심으로, 2003.
· 최혜진, 학술 매월당 김시습의 방외인적 성격과 시 정신,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 2003.
· 김종구, 김시습의 방외적 삶과 현실주의 시 세계, 개신어문학회 / 개신어문연구, 2001.
· 심경호, 김시습과 서거정, 2001, p.185-188.
· 박영주, 학술 매월당 김시습의 문학세계, 반교어문학회, 2000.
· 정종대, 김시습의 시와 신세모순, 한국기술교육대학교/논문집, 2000.
· 박경신, 태평한화골계전의 문학사적 의의, 울산어문논집 제 13․14합집, 1999, p109-134.
· 진경환, 김시습과 `心儒跡佛`의 문제, 암암어문학회, 어문논집, 1999.
· 김세희, 『동인시화』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8.
· 이은주, 梅月堂 김시습의 시문학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1994.
· 김승회, 서거정의 문학사상 연구 (徐居正의 文學思想 硏究), 단국대학교,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