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해목차
Ⅰ. 포스트 모더니즘의 개념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과의 관계
1) 모더니즘과의 연속 개념
2) 모더니즘과의 단절 개념
3) 모더니즘과의 절충 개념
3.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4. 한국 문학에서의 포스트 모더니즘
1) 한국시의 포스트모더니즘 역사
2) 한국시와 포스트모더니즘
5. 포스트모더니즘 음악
6.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7.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
1)근대의 계승과 일탈
2)건축의 해체
3)기계로서의 건축
4) 탈구축의 건축
5)포스트모던 건축이 남긴 것
8. 포스트모더니즘 복식
9.포스트모더니즘과 영화
1)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의 출연
2)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의 특징
3)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집중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포스트 모더니즘의 개념문학과 예술을 비롯한 모든 문화 전통이나 이론 가운데에서 포스트모더니즘만큼 그 개념과 성격을 규정하기 힘든 전통이나 이론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이렇게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본질을 정확하게 규정하기 힘든 것은 그것이 문예전통이나 이론 가운데에서 가장 뒤늦게 대두된 현상 이기도 하다. 이 포스트모더니즘은 비단 문예 이론 뿐만 아니라 건축, 음악, 미술 심지어 정치 등 모든 사회 전반에 걸쳐 기존의 사상을 흡수 혹은 해체시키면서 계속 생성․발전하기 때문에 그 영역은 비대할 수밖에 없으며, 정의 또한 규정하기가 어렵다. 실제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원조격인 미국에서조차도 아직 개념 정립이 제대로 서있지 않은 상태이며, 각 이론가들의 주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전부를 설명하기 보다는 일부밖에 소화시킬 수 없는 등 모호한 상태에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이란 용어는 문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포스트’라는 접두어와 ‘모더니즘’이라는 단어가 결합되어 생긴 말이다. 이 용어는 의미 면에서 본다면 단순히 ‘모더니즘 다음에 오는’ 현상, 후시성(後時性)을 가르키는 표현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프리모던’이란 용어가 단순히 ‘전근대(前近代)’ 또는 ‘전현대(前現代)’를 가리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포스트모던’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후근대(後近代) 또는 후현대(後現代)’를 가리키는 표현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본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문제는 출현 시기이나 다른 문예 사조처럼 정확한 연대를 추정하기란 쉽지가 않다.
미카엘 쾰러와 이합 핫산에 따르면 1934년에 페레리코 드 오니스가 그의 저서 『스페인과 남아메리카 시선집』에서 포스트모데르니시모(postmodernismo)라는 말을 사용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어원은 분명치가 않다. 그 후 더드리 피츠가 1942년에 『현대 라틴-아메리카 시선집』에서 다시 그 말을 사용하였는데, 이 두 사람은 모더니즘 그 자체 내에 이미 내재하고 있는 하나의 작은 반동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참고 자료
김수영(1974),『巨大한 뿌리』, 민음사김욱동(2004), 포스트모더니즘. 민음사.
김정란(1992),『매혹, 혹은 겹침』, 세계사
김효중 외(2003), 문예사조론, 새문사
박남철(1984),『地上의 人間』, 문학과 지성사
서성록(1993), 한국민술과 포스트 모더니즘, 미진사
장정일(1987), 『햄버거에 대한 명상』, 민음사
― (1988), 『길안에서의 택시잡기』, 민음사
― (1988), 『서울에서 보낸 3주일』, 청하
하재봉(1990), 『비디오/천국』, 문학과 지성사
황지우(1983),『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문학과 지성사
― (1985),『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민음사
<참고논문>
박상선(2002),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현대미술연구소 논문집4
오희숙(2005), 음악적 포스트모더니즘. 음악과 민족 20
오희숙(2001), 음악적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 음악학8
윤우학(2005), 현대미술에 있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연구. 인문학지32
김수애, 허정란(1998), 복식의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服飾文化硏究
김세미(1994), 후기영상문화에서의 영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저널리즘연구
박길용(1993), 한국의 현대건축과 포스트-모더니즘, 한국학연구
간문자(1991), 服飾에 나타난 포스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