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 최초 등록일
- 2020.09.26
- 최종 저작일
- 2020.09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해 쓴 리폿 입니다. 서구 예술사에서 가장 찬란한 성좌로 일컬어지는 모더니즘과 모더니즘에 대한 계승이자 부정이라는 이중결속의 아방가르드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썼습니다.
욕하면서 배운다고 하죠. 뭐...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을 욕하면서도 그 틀을 의식해서 보고 배우고 따라하다 벗어나려하고 그랬던 것 같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1. 모더니즘.
2. 포스트모더니즘.
3. 에피스테메.
4. 현대적 에피스테메와 포스트모던 에피스테메.
5.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본문내용
1. 모더니즘.
1920년대에 일어난 근대적인 감각을 나타내는 예술상의 여러 경향을 말한다. 넓은 의미로는 교회의 권위 또는 봉건성을 비판하며 과학이나 합리성을 중시하고 널리 근대화를 지향하는 것을 말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기계문명과 도회적 감각을 중시하여 현대풍을 추구하는 것을 뜻한다.
예술상에서의 모더니즘은 20세기 초, 특히 1920년대에 일어난 표현주의· 미래주의· 이미지즘· 다다이즘· 형식주의(포멀리즘) 등의 감각적이고 추상적이며 초현실적인 경향의 여러 운동을 통틀어 모던 아트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으나, 큰 틀에서 보자면 19세기 예술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실주의(리얼리즘)에 대한 반항운동이자, 제1차 세계대전 후에 일어난 전위예술 운동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기존의 리얼리즘과 합리적인 기성도덕· 전통적인 신념 등을 일체 부정하고,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도시 문명이 가져다준 인간성 상실에 대한 문제의식 등에 기반을 둔 다양한 문예사조이다.
19세기 말엽부터 유럽 소시민적 지식인들 사이에서 발생하기 시작해 20세기에 들어와 크게 유행한 문예사조로 ‘근대주의’ 또는 ‘현대주의’라고도 한다. 기존의 사회질서와 종교, 도덕의 전통을 밑받침하고 있던 확실성에 대해 회의를 품은 니체의 허무주의, 마르크스의 유물사관과 혁명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등의 선구적 사상들이 이미 그 토대를 마련해놓았으며, 세계를 정신적· 물질적으로 황폐화시킨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크게 성행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