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복수노조 병존과 집단적 노사관계법의 쟁점

2010.1.1자로 개정된 노조법에서는 복수노조의 전면적 허용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다만 법시행일을 2011.7.1로 규정하고 있는바, 본격적인 복수노조 허용이전인 현재 시점에서 개정된 법조문을 바탕으로 법적쟁점과 복수노조 병존시의 부당노동행위를 논하였다.
1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0.07.08 최종저작일 2010.07
120P 미리보기
복수노조 병존과 집단적 노사관계법의 쟁점
  • 미리보기

    소개

    2010.1.1자로 개정된 노조법에서는 복수노조의 전면적 허용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다만 법시행일을 2011.7.1로 규정하고 있는바, 본격적인 복수노조 허용이전인 현재 시점에서 개정된 법조문을 바탕으로 법적쟁점과 복수노조 병존시의 부당노동행위를 논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Ⅰ. 연구의 범위
    Ⅱ. 연구의 방법


    제2장 복수노조 병존과 교섭창구 단일화의 쟁점
    제1절 복수노조에 관한 노조법의 개정과정과 그 평가
    Ⅰ. 복수노조에 관한 노조법의 개정과정
    Ⅱ. 개정과정에 대한 평가

    제2절 복수노조 병존시의 교섭창구 단일화 방안
    Ⅰ.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1. 교섭창구 단일화의 의의
    2.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의 내용
    3. 교섭단위의 결정
    Ⅱ.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
    1. 교섭대표노동조합의 권한
    2. 공정대표의무의 부여
    Ⅲ. 시행관련 경과조치

    제3절 복수노조 병존시의 교섭창구 단일화에 따른 법적 쟁점
    Ⅰ. 교섭창구 단일화의 위헌성여부
    1. 문제의 소재
    2. 학설의 대립
    (1) 위헌설
    (2) 합헌설
    3. 검토
    Ⅱ. 교섭창구 단일화의 대상과 범위
    1. 초기업별 노동조합의 단일화 대상 해당여부
    2. 단위노조의 지부분회의 단일화 대상 해당여부
    (1) 독립성이 없는 지부분회인 경우
    (2) 독립성이 있는 지부분회인 경우
    3. 교섭대표기구의 개념
    4. 교섭단위분리의 기준
    Ⅲ. 공정대표의무의 적용
    1. 공정대표의무 위반시의 처벌
    2. 공정대표의무와 부당노동행위와의 관계
    3. 공정대표의무와 유일교섭단체조항
    Ⅳ. 대표노조 요건의 사후적 탈락과 대표노조의 지위
    1. 문제의 소재
    2. 단체교섭 도중 대표노조 요건 탈락시 대표노조의 지위
    3. 과반수 요건을 결여한 대표노조가 체결한 단체협약의 효력

    제4절 소결


    제3장 복수노조 병존과 부당노동행위 유형
    제1절 서설
    Ⅰ. 부당노동행위의 유형
    Ⅱ. 복수노조 병존에 따른 부당노동행위

    제2절 단체교섭관련 부당노동행위
    Ⅰ. 교섭창구 단일화 관련 부당노동행위
    1. 유노조사업장에 신규로 노동조합이 설립된 경우
    (1) 기존 노동조합과의 단체협약이 유효한 경우
    (2) 교섭창구단일화를 요구하면서 교섭을 거부하는 경우
    2. 무노조사업장에서 복수의 신규노조가 설립된 경우
    3. 기존 1사 다수노조의 경우
    Ⅱ. 개별교섭 관련 부당노동행위
    1. 개별교섭시의 특징과 사용자의 의무
    (1) 사용자의 중립의무
    (2) 단체교섭 자유의 한계
    2. 단체교섭의 차별적 거부
    (1) 문제의 소재
    (2) 일본의 사례
    (3) 검토
    3. 성실교섭의무 위반
    (1) 문제의 소재
    (2) 일본의 사례
    (3) 검토
    4. 전제조건의 고집
    (1) 문제의 소재
    (2) 일본의 사례
    (3) 검토
    5. 타결월 실시조항
    (1) 문제의 소재
    (2) 일본의 사례
    (3) 검토

    제3절 임금, 근로조건 및 인사상 차별과 부당노동행위
    Ⅰ. 임금 및 기타수당의 차별
    1. 문제의 소재
    2. 일본의 사례
    3. 검토
    Ⅱ. 연장근로의 차별
    1. 문제의 소재
    2. 일본의 사례
    3. 검토
    Ⅲ. 인사상 차별
    1. 문제의 소재
    2. 인사상 차별에 따른 부당노동행위 판단의 특징
    3. 인사상 차별시의 구제명령

    제4절 편의제공 차별과 부당노동행위
    Ⅰ. 편의제공 및 그 차별의 의의
    1. 편의제공의 법적 근거
    2. 편의제공 차별의 의의
    3. 편의제공 차별의 합리성
    Ⅱ. 편의제공의 차별유형
    1. 조합사무소의 대여
    2. 조합게시판의 대여
    3. 체크오프(check-off) 협정
    (1) 체크오프(check-off) 협정의 개념
    (2) 일본의 사례
    (3) 검토
    4. 노조전임자의 인정
    5. 근로시간면제한도(Time-off)의 설정
    (1) 문제의 소재
    (2) 검토
    1)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여부
    2)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의 당사자
    6. 기타 편의제공의 차별

    제5절 노동조합에 의한 부당노동행위 인정여부
    Ⅰ. 문제의 소재
    Ⅱ. 노동조합에 의한 부당노동행위 인정여부에 대한 견해
    1. 긍정설
    2. 부정설
    Ⅲ. 소결

    제6절 소결


    제4장 복수노조 병존과 그밖의 법적쟁점
    제1절 단체협약의 효력과 적용
    Ⅰ. 조합이동시 단체협약의 적용
    1. 문제의 소재
    2. 견해의 대립
    3. 검토
    Ⅱ. 단체협약의 사업장단위 일반적 구속력
    1. 문제의 소재
    2. 일본의 사례
    3. 검토

    제2절 유니온샵 협약의 효력
    Ⅰ. 유니온샵 협약의 유효성
    1. 유니온샵 협약의 의의
    (1) 유니온샵 협약의 개념과 법적근거
    (2) 복수노조 병존시 단결선택의 자유와 유니온샵 협약
    2. 소수노조와 체결한 유니온샵 협약의 효력
    (1) 근로자 3분의 2 이상의 요건을 결여한 경우
    (2)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여부
    3. 복수노조하에서 유니온샵 협약의 정당성
    Ⅱ. 유니온샵 협약에 의한 사용자의 불이익처분
    1. 다른 노동조합의 가입 또는 결성을 위한 기존 노동조합 탈퇴
    2. 소수노조 조합원에 대한 불이익 처분
    3. 비노조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 처분
    (1) 노조의 가입 거부에 따른 비노조 근로자
    (2) 노동조합이 제명한 비노조 근로자
    (3) 노동조합을 탈퇴한 비노조 근로자
    Ⅲ. 소결


    제5장 결 론

    *參考文獻

    본문내용

    2010년 1월 1일 국회는 복수노조 설립허용과 교섭창구 단일화 및 노조전임자에 대한 급여지급금지와 관련된「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노조법’이라 한다) 규정의 개정을 의결하였다. 그리고 동법은 같은 날 공포되었으며, 2010년 2월 12일 노조법시행령이 공포되었다. 이번 법 개정은 1997년 3월 13일 노조법을 제정하면서 그 시행을 유예해왔던 복수노조 설립허용 및 노조전임자 금지규정에 관한 것으로, 입법적 보완없이 위 제도들이 시행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혼란과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노조 설립금지의 문제점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91년 우리나라가 ILO에 가입하면서 부터라고 보여진다. 왜냐하면 ILO협약 제87호는 근로자가 스스로 선택하여 단체를 설립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고, 이 협약은 근로자는 기존 노조에 가입하지 않고 새로운 노조를 설립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 복수노조의 설립을 금지하는 것은 ILO협약 제87호를 위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1996년 우리나라가 OECD에 가입신청서를 내면서 복수노조금지조항은 정부의 노동법 개정작업의 주요 논의대상에 포함되었다. 왜냐하면 OECD회원국들 사이에서 우리나라가 OECD에 가입하는데 필요한 자격요건으로 복수노조금지를 포함한 비민주적 노동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계희열,「헌법학(중)」, 박영사, 2007.
    · 곽윤직,「민법총칙」(신정판), 1995.
    · 권영성,「헌법학원론」, 법문사, 2005.
    · 김려수,「한국노동법」, 실학사, 1975.
    · 김유성,「노동법Ⅱ」, 법문사, 1999.
    · 김형배,「노동법」(제19판), 박영사, 2010.
    · 니시타니 사토시(김진국 역),「일본노동조합법」,박영사, 2009.
    · 박홍규,「노동단체법」, 삼영사, 2000.
    · 송강직,「단결권:유니온샵 협정을 중심으로」, 삼지원, 1992.
    · 신인령,「노동기본권연구」, 미래사, 1985.
    · 이병태,「노동법」, 법원사, 1989.
    · 이상윤,「노동법」(제5판), 법문사, 2010.
    · 이승욱,「복수노조 병존의 쟁점과 과제」,한국노동연구원, 2005.
    · 이을형,「노동법」, 대왕사, 1993.
    · 임종률,「노동법」(제8판), 박영사, 2009.
    · 권창영,“복수노동조합 병존시의 법률관계”,사법논집 (제30집), 1999.
    · 김형배,“노동조합의 대표성과 제2노조의 문제”,「노동법학」제2호, 1989.
    · 김형배,“조합비일괄공제제도의 법률문제”,「경영계」,1996.
    · 노병직·이준우,“복수노조하의 일본 노동운동의 리더십 교체사례 연구” ,「노동정책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제9권 제3호).
    · 박종희,“노동3권의 보장 의의와 내용”,「고려법학」제48호, 2007.
    · 박종희,“복수노조 설립금지 하에서 유니온샵 협약의 효력”,「고려법학」,고려대 법학연구원, 2003(제40호).
    · 박종희,“복수노조하에서의 단체교섭창구단일화”,「고려법학」제36호,
    · 박종희,“신선대 컨테이너터미널 사건(부산지법 2000.2.11, 2000카합 53)”,「산업관계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노사관계학회,2000.
    · 송강직,“노조법 제81조 제2호단서의 해석”,「노동법학 제9호」, 한국노동법학회, 1999.
    · 송강직,“복수노동조합하에서의 단체교섭, 단체협약의 법리 -유니온샵 협약과 단체교섭 체결을 중심으로”,「노동법학 제13호」, 한국노동법학회, 2001.
    · 송강직,“복수노동조합하에서의 단체교섭·단체협약의 법리-유니온샵 협정과 단체교섭 체결을 중심으로-”,「노동법학」제13호, 한국노동법학회, 2001,
    · 오문완,“복수노조 병존시 단체교섭권에 관한 연구 -미국과 일본의 단 체교섭제도-”,「한국노총중앙연구원」, 1997.
    · 유성재,“2010년 개정 노동법에 대한 입법론적 평가”,「복수노조 빛 전임자급여에 관한 개정 노동법의 평가와 향후 노사관계 전망 공동정책토론회」(2010.3.23).
    · 유성재,“유니온샵 협정과 소극적 단결권”,「월간 노동법률」, 2006 (1월호).
    · 윤성천,“노동조합의 조직 및 활동과 노동관계법-3조 단서 5호와 복수노조문제 를 중심으로-”,「노동법의 제문제」, 한국노동연구원, 1998.
    · 이 정,“일본 복수노조와의 자율교섭과 노사관계-사용자의 성실교섭의무 및 중립유지의무를 중심으로-”,「노동법학」제32호, 2009.
    · 이 정,“일본의 복수노조 병존하의 노사관계·노무관리의 경험과 시사점”,「외법논집」(제33권 제2호), 2009(5月).
    · 이성희,“2009년 노사관계 평가와 2010년 전망”, 한국노동연구원, 2010.
    · 이인재,“복수노조와 전임자급여 관련 개정 노동법의 쟁점과 대안”, 「복수노조 빛 전임자급여에 관한 개정 노동법의 평가와 향후 노 사관계 전망 공동정책토론회」(2010.3.23).
    · 이준형,“사적자치와 인권”,「법정논집」, 중앙대학교 법과대학, 2004 (제39권 제53호).
    · 이형준,“전임자 급여지급 금지 및 복수노조 관련 법 개정에 대하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요 개정내용“,「경영계」제371호,한국경영자총협회, 2010.
    · 임종률,“2010년 노동법 개정의 의미와 영향”,「복수노조 및 전임자급 여에 관한 개정 노동법의 평가와 향후 노사관계 전망 공동정책 토론회」(2010.3.23).
    · 전 인,“복수노조 허용에 따른 현장 노사관계의 도전과 기회: 대기업 경제주의 노동조합의 의식조사 사례중심”,「노동정책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제9권 제2호).
    · 전명숙·윤문희·김삼수·정병기·Roland Zullo,“복수노조 환경하의 노사관계연구”,한국노동연구원, 2006(5月).
    · 조성재,“복수노조·전임자 관련법 개정 후 노사관계”,「월간노동리뷰」, 한국노동연구원, 2010(1·2월호).
    · 피용호,“유니온샵 협정을 허용하는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2호 단서의 해석론“,「법학연구」제21호, 한국법학회, 2006.
    · 하경효,“ILO 기본협약과 노동법 개정방향”,「노동법학」제4호, 1994.
    · 김경태,“기업변동에 따른 노동법상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김기승,“복수노조하 단체교섭관련 부당노동행위 유형 고찰”,한경대학교 전자정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김원배,“복수노조 병존하의 단체교섭제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김정아,“복수노조와 관련된 노동법상의 문제점에 관한연구”,한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 김지호,“복수노조관련 현행법 적용상의 문제와 운영상 과제에 관한 연 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이경창,“미국에서의 공정대표의무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1986.
    · 이성복,“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조규식,“복수노동조합 하의 단체교섭제도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진선미,“근로3권과 부당노동행위제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 논문, 2008.
    · 홍기웅,“복수노조하에서의 교섭창구단일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2.
    · 菅野和夫,「勞働法」(제6판), 弘文堂, 2004.
    · 東大勞働法硏究會,「注釋勞働組合法(下卷)」, 有斐閣, 1982.
    · 梅田武敏,“ユニオソショツプ協定の效力”,「勞働判例白選」, 2002.
    · 沼出稻次郞,「勞働法要說改訂版」, 法律文化社, 1974.
    · 安枝英呻,“複數組合と使用者の中立保持義務”,「勞働判例百選」(제5판).
    · 吾妻光俊,「新丁勞働法槪論」, 靑森書院新社, 1962.
    · 吾妻光俊,「新丁勞働法槪論」, 靑森書院新社, 1970,
    · 橫井芳弘,「勞働協約の一般的拘束力」, 有斐閣, 1957.
    · 揂崎次郞,“一般的拘束力の制度論”,「勞働法の基本問題」,總合勞働硏究所, 197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