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의 주제를 무엇으로 보는가
- 최초 등록일
- 2010.06.05
- 최종 저작일
- 2010.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1. 춘향전의 줄거리
Ⅱ. 본론
2. 춘향전의 주제를 무엇으로 보는가
3. 비중을 두고 바라본 주제 - ‘사랑’
4 . 사랑놀음 장면의 판소리 효과
Ⅲ. 결론
5. 현대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춘향전
본문내용
Ⅰ. 서론
1. 춘향전의 줄거리
남원부사의 자제 이도령은 풍채와 문장이 빼어난 인물이다. 어느날 이도령이 광한루에서 산천경개를 구경하다가 그네 뛰는 춘향을 보고는 한눈에 반하게 된다. 춘향을 불러 본 이도령은 춘향에게 불망기(不忘記)를 써 주고, 사랑가로 함께 즐긴다. 이도령이 춘향의 집을 방문하여 둘은 초야를 지내고 왕래하며 서로 사랑을 나눈다. 그러던 어느 날 이도령의 아버지의 전출로 둘은 어쩔 수 없이 헤어지게 된다. 이 소식을 들은 춘향은 앙탈하다가 이별가를 부르고 신물(信物)을 교환하며 후일을 기약한 후 이별한다. 후에 고을에는 악명 높기로 소문난 변학도가 신관사또로 부임하는데, 오래 전부터 춘향의 얘기를 들어온 변학도는 춘향에게 수청들 것을 권유하지만 춘향은 열녀는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며 거절한다. 이에 분노한 변학도는 춘향을 옥에 가두고 만다. 한편 이도령은 장원급제하여 전라어사라는 직분을 받아 남원으로 내려온다. 이도령은 춘향의 집을 방문한 후 옥중으로 춘향을 찾아간다. 변학도의 생일잔칫날 이도령은 걸인으로 참석하여 그 앞에서 시를 짓고, 어사출도하여 변학도의 직분을 파하고 춘향을 구한다. 춘향은 그 어미와 함께 서울로 올라와 임금의 명으로 정렬부인(貞烈夫人)이 된다.
Ⅱ. 본론
2 . 춘향전의 주제를 무엇으로 보는가
<춘향전>의 주제를 파악한 입장은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주제를 하나로 집약해서 보려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을 여러 가지 복합적인 것으로 보려는 입장이다. 전자에도 몇 가지 견해가 있고, 후자에도 역시 몇 가지 견해가 있다. 이 중 먼저 주제를 하나로 보려는 여러 가지 견해를 검토하기로 하겠다.
첫째, <춘향전>의 주제를 춘향의 정절로 본 것이다. 이것은 <춘향전> 자체의 생성과 전승과정에서 일관되게 강조되어 온 전통적 견해이다. <춘향전>에서는 춘향이 이도령을 위해 수절하고 신관사또에게 저항한 것을 두고 정절의 표본으로 파악하고 있다.
“쳔기로그러믄쳔고의희한도다!” 시고, 졍녈부인을봉시니라.
위의 완판 16장본의 구절에서 볼 수 있듯이 <춘향전>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정절을 춘향의 핵심적인 덕목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그것이 곧 <춘향전>의 주제라고 인식하고 있다. 그것이 비록 독자들이 체험하는 작품의 실제적인 의미와는 다소의 거리가 있고, <춘향전>이 갖는 근대성과 서민문학적 성격을 충분히 들어내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이 같은 견해는 <춘향전>의 문학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결코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주제를 남녀간의 애정으로 본 견해이다. 춘향과 이도령 사이의 사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는 앞에 소개한 견해와 상통하지만, 그 사랑의 주체를 누구로 보느냐에 대해서는 서로 차이를 보인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