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문 - 춘향전 - 내가 본, 춘향이
- 최초 등록일
- 2018.11.01
- 최종 저작일
- 2018.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감상문 - 춘향전 - 내가 본, 춘향이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감상문 - 춘향전 - 내가 본, 춘향이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감상문 - 춘향전 - 내가 본, 춘향이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감상문 - 춘향전 - 내가 본, 춘향이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Ⅰ. 어린 내가 본, 동화 속 춘향(春香)이
Ⅱ. 소녀가 본, 정절녀 춘향(春香)이
Ⅲ. 20살 내가 본, 화끈한 여인 춘향(春香)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릴 때에 나는 세상에서 제일 이쁜 여자는 백설공주라고 생각했고, 우리 나라에서 제일 이쁜 여자는 춘향이라고 생각했다. 13년 전, 반 지하 단칸방이었던 우리 집에 읽을 책이라곤 동화책 한 질이 전부였다. 그 때 그 동화책들은 지금은 다 내다버렸는지 없지만, 그때는 그것이 유일한 장난감이었다. 나에게 동화책은 이야기 그림책일 뿐 아니라 색칠공부를 위한 그림공책으로 변하기도 하고 소꼽 놀이를 할 때는 집을 만드는 벽돌이 되어주기도 했다. 춘향전도 그런 동화책들 가운데 하나였고, 한복을 곱게 입은 춘향이가 비록 드레스 입은 백설공주보다는 이쁘지 않다는 생각을 하곤 했지만, 그래도 우리 나라에서는 춘향이가 제일 이쁜 여자인가보다 하고 생각했었다. 내가 어릴적에 이쁘게 그린다고 그린 그림들이 모두 가슴이 깊게 패이고 어깨에 뽕 들어간 드레스를 입은 서양여자였던 것은 백설공주가 제일 이쁘다고 생각했던 내 머리가 원인이 되었던 것 같다. 사실 그때의 미의 기준은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참고 자료
유혜경. “춘향전에 수록된 춘향의 외양묘사를 통해 본 조선후기 이상적 여인상 연구 :만엽본, 경판본, 남원고사, 완판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논문. 동아대대학원. 2003.
노향복. “춘향의 성격변화와 분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춘향전 영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석사논문. 분장예술 한성대 예술대학원. 2003.
송한홍. “박재삼의『춘향이 마음』연구” 석사논문. 순천대 교육대학원. 2002.
서은아.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춘향의 성격연구” 석사논문. 서울女大 大學院. 1997.
이배근. “춘향의 성격 연구” 석사논문. 상지대 교육대학원. 2001.
니시오카 켄지. “남원고사에 나타난 춘향의 수절의식의 의미” 석사논문. 연세대 대학원.1984.
강진모. “『고본 춘향전』의 성립과 그에 따른 고소설의 위상 변화” 석사논문. 연세대 대학원. 2003.
안남순. “<춘향전>에 나타난 전통의 교육적 의미” 석사논문. 부산대 교육대학원. 2003.
김진희.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과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석사논문. 연세대 교육대학원. 2003.
조선후기소설 여성주인공의 현실대응양상 연구/한유진 석사: 국문학 공주대 대학원, 200202
장성원. “「춘향전」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과 갈등양상 연구 : 완판 「열녀춘향수절가」를 중심으로” 석사논문. 江陵大 敎育大學院. 1999.
송순정.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 연구” 석사논문. 梨花女大 敎育大學院. 1993.
서남춘. “춘향(春香)의 인간상(人間像)” 국어국문학 77권 1호. 국어국문학회. 1978.
한채화. “「춘향전」의 생산적 수용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7권.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2000.
“「춘향전」의 갈등 구조와 한의 승화” 한국언어문학 35권. 한국언어문학회. 1995.
한채화. “김주영의 「외설춘향전」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3권.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98.
김태준. “춘향전의 현대적 해석” 판소리연구 3권. 판소리학회. 1992.
오관석. “문학적 전통으로 본 춘향전 (春香傳)” 국제어문 4권. 국제어문학회(구국제어문학연구회). 1983.
주길순. “춘향전 발생의 민속적 기원 < 남원지방의 민담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21권. 한국언어문학회.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