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글] 한글표기

"[한글] 한글표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3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2.05.08 최종저작일 2002.05
36P 미리보기
[한글] 한글표기
  • 미리보기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대상
    3. 연구 방법
    Ⅱ. 서지적 고찰
    Ⅲ. 표 기 법
    1. 어두 된소리의 표기
    2. 종성 'ㅅ'과 'ㄷ'의 혼란
    3. 유기음 표기
    4. 모음간 'ㅎ'과 'ㅎ'의 표기
    5. 중 철
    6. 분 철
    Ⅳ. 음 운
    1. 'ㆍ'의 변화
    2. 원순모음화
    3. 구 개 음 화
    4. 경음화 및 유기음화
    Ⅴ. 어 휘
    Ⅵ. 문 법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 목적
    국어사 연구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 중의 하나는 각 시기의 국어에 대한 공시적 연구이다.
    국어는 다른 모든 언어와 마찬가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적 공간적으로 병존해 있는 수 많은 언어 사실들을 토대로 각 시기의 국어가 지닌 일반적인 성격을 파악함으로써 국어의 역사적 변화 과정에 대한 기술과 설명이 가능해질 수 있고, 나아가 국어의 전반적인 모습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각 시기의 국어에 대한 연구는 각 시기에 간행된 하나하나의 문헌을 정밀하게 고찰하는 작업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우선, 그 문헌의 성격을 파악하고 거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문헌의 언어를 검토하여, 그 문헌의 가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개별 문헌들에 의해 국어의 역사를 엮을 수가 있는 것이다.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서 '근대'는 일반적으로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까지이다.
    근대 국어는 중세 국어에서 현대 국어를 이어주는 교량적 시기의 국어로 후기 중세 국어의 변화된 결과가 나타나서 새로운 체계를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동시에 현대 국어의 제반 특징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때이다.
    근대 국어의 문헌 자료는 불경 언해가 주류를 이루었던 중세 국어와는 달리 불경류, 경서류, 의약류, 농서류, 역학류, 문학류 등 당시의 생활상을 구체적

    참고자료

    · 谿谷先生文集(1993), 경인문화사 영인본.
    · 金東昭(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 金東彦(1989), 17世紀 國語의 形態音韻 硏究,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 김석득(1985), 17세기 국어의 된소리 형태음소되기 -된소리되기 원인과 된소리 증가 현상-, 연세논총 21.
    · 김순자(1984), 마경초집언해의 국어학적 연구 -음운과 형태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진(1982), 농림수산 고문헌 비요, 한국 농촌 경제 연구원.
    · 金重鎭(1986), 近代國語 表記法 硏究, 圓光大學校 博士學位論文.
    · 김한숙(1988), 번역소학과 소학언해의 비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南廣祐(1960), 古語辭典, 東亞出版社.
    · 마경초집언해(1980), (1983), 홍문각 영인본.
    · 마경초집언해(1988), 여강출판사 영인본.
    · 손보기(1976), 금속활자와 인쇄술. 교양 국사 총서.
    · 安秉禧(1990),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 安春根(1990), 한국 서지학 원론, 범우사.
    · 劉昌惇(1964), 李朝語辭典, 延世大出版部.
    · 유탁일(1989), 한국 문헌학 연구, 아세아 문화사.
    · 李基文(1972), 改訂 國語史槪說, 塔出版社.
    · 李崇寧(1970), 近代國語 硏究의 管見 -17世紀國語를 주로 하여-, 駱山語文(서울대) 2.
    · 李翊變(1987), 음절말표기 'ㅅ'과 'ㄷ'의 사적 고찰, 성곡논총 18.
    · -----.-(1993), 近代國語 表記法의 性格과 特徵, 정신문화연구 16권 1호.
    · 田光鉉(1967), 十七世紀 國語의 硏究, 國語硏究 19.
    · 增補文獻備考(1965), 동국문화사 영인본
    · 전철웅(1976), 近代韓國語의 硬音化 硏究, 서울대학교 碩士學位論文.
    · 鄭永仁(1986), 17世紀 國語의 表記體系와 音韻現象, 全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 池春洙(1983), 近代國語 表記法의 樣相과 傾向, 國語國文學科(朝鮮大) 5
    · 채인숙(1986), 17세기 의서언해의 국어학적 고찰, 한양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천혜봉(1990), 한국 전적 인쇄사, 범우사
    · 천혜봉(1991), 한국서지학, 민음사.
    · 최현배(1971), 고친 한글갈, 정음사.
    · 許 雄(1965), 國語音韻學, 正音社.
    · 洪允杓(1986), 近代國語 表記法 硏究, 民族文化硏究(高麗大) 19.
    · ------(1994), 근대국어연구, 태학사.
    · 三木榮(1963), 朝鮮醫學史 及 疾病史, 동우.
    · 小倉進平(1964), 增訂 補注 朝鮮語學史, 刀江書院, 東京.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