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표기법 변천사] 표기법의 발달과정
- 최초 등록일
- 2002.11.20
- 최종 저작일
- 2002.1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소개글
도움이 되시길...
목차
1. 표기법의 발달
1-1. 문자의 발달
1-1-1. 추상적 문자 시대
1-1-2. 단어 문자
1-1-3. 음절(音節)문자와 자모(字母)문자
1-2. 고대 국어 표기법
1-2-1. 향찰
1-2-2. 구결
1-2-3. 이두
2. 훈민정음
2-1. 훈민정음 창제
2-1-1. 창제자와 동기
2-1-2. 훈민정음의 기원
2-1-3. 훈민정음 제자원리
2-2. 훈민정음의 특징과 우수성
2-2-1. 문자적 위치
2-2-2. 표기적 특징
2-3. 중세 국어 표기법
2-3-1. 15세기 국어의 분철 표기
2-3-2. 팔종성법
2-3-3. 된소리 표기법
2-3-4. 16세기 표기법
3. 우리의 과제
본문내용
1. 표기법의 발달
나라에 따라서는 그 나라 특유의 말은 가지고 있으나 그 말을 표기하는 수단인 문자를 아예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도 있고, 또 말은 따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문자는 남의 나라에서 쓰는 것을 빌어다가 함께 쓰는 경우도 있다. 수세기전만 해도 우리나라는 중국의 한자를 빌어다가 우리의 말을 표기했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는 우리 국어만을 적기 위한 우리 고유의 문자인 한글을 가지고 있다. 우리 고유의 말을 표기하는 우리만의 고유 문자가 있다는 것은 대단히 자랑스럽고 위대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글이 애초 훈민정음이라고 만들어지던 시기까지의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며 우리의 한글이 지니는 의의를 살펴보자.
1-1. 문자의 발달
문자란 사람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시각적인 기호의 체계를 말한다. 입과 귀에만 의존하는 말을 기호화함으로써 추상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문서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의사소통 수단을 좀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보존이 가능하다는 인류 역사상 큰 발전의 계기를 마련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그렇다면 이 수단이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가를 간단하게 몇 단계로 나누어 알아보자.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