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경두개 초음파의 기초

경두개 초음파의 기초
30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0.02.01 최종저작일 2010.02
30P 미리보기
경두개 초음파의 기초
  • 미리보기

    소개

    경두개 초음파의 기초

    목차

    서론
    경두개 초음파 검사의 기본 수기
    경두개 초음파 검사에서 이용하는 지표들
    혈류속도의 생리적 결정 요소

    본문내용

    초음파란 20,000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에너지 파동이다. 초음파란 말은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 이상의 파란 뜻에서 기원한 말인데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는 20~20,000Hz이다. 경두개 초음파는 여타 다른 초음파를 이용하는 장치와 같은 원리로 특히 다른 연부조직과 연관된 물리학적 특성을 기초로 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적 극성이 적용되었을 때 물질의 압축이나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을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라고 하는데, 현대적인 초음파 장비는 반대로 음파 에너지가 주어졌을 때 전류로 전환되는 특성을 이용한다.
    뇌초음파검사(echoencephalography)의 시도에서 매우 낮은 주파수의 초음파가 두개골을 통과하여 뇌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두개골이라는 장벽에 막혀 오랫동안 초음파를 이용한 뇌나 뇌혈관검사의 가능성에 대한 시도는 불가능 할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1982년에 이르러 2MHz의 초음파가 두개골을 투과하여 뇌의 기저동맥과 윌리스환(circle of Willis)의 혈류 방향과 혈류 속도를 성공적으로 측정해 냄으로 경두개 초음파 검사의 시초가 되었다1.
    두개골은 치밀한 상아질(compact ivory bone)인 내측 테이블(inner table)과 외측 테이블(outer table)사이에 diploe라고 불리우는 해면골(cancellous bone)이 존재하는 3층 구조인데 내측 테이블은 내부의 뇌피질의 모양에 따라 그 두께가 달라진다. 이러한 뇌회(cerebral convolution)는 측두골에서 가장 현저하다. 낮은 MHz 범위에서의 compact ivory bone에서의 초음파 에너지의 흡수는 2~3 dB/cm/MHz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는데, 2MHz 이상의 범위에서는 주파수 제곱에 비례하여 초음파 에너지가 흡수된다. 해면골은 다공성으로 침상골(bony spicule)이 풍부한 구조물로 구조상의 특성 때문에 초음파의 쇄약(attenuation)과 산란(scattering)에 가장 영향을 많이 준다.

    참고자료

    · 1. Aaslid R, Markwalder T-M, Nornes H. Noninvasive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recording of flow velocity in basal cerebral arteries. J Neurosurg 1982;57:769-774.
    · 2. White DN, Curry GR, Stevenson RJ.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kull. Ultrasound Med Biol 1978;4:225-252.
    · 3. Grolimund P. Transmission of ultrasound through the temporal bone. In R Aaslid (ed),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Vienna: Springer, 1986.
    · 4. Ratanakorn D, Tegeler CH, Greenberg JP. Risks for inadequate temporal windows in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Neurology 1997;48:A156.
    · 5. Stark CR, Orleans M, Havercamp AD, Murphy J. Short- and long-term risks after exposure to diagnostic ultrasound in utero. Obstet Gynecol 1984;63:194-200.
    · 6. Arnolds BJ, von Reutern GM.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Examination technique and normal reference values. Ultrasound Med Biol 1986;12:115-123.
    · 7. Aaslid R. Transcranial Doppler examination techniques.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ed). New York: Springer, 1986;39-59.
    · 8. Aaslid R. The Doppler principle applied to measurement of blood flow velocity in cerebral arteries.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ed). New York: Springer, 1986;22-38.
    · 9. Babikian VL, Wechsler LR. The basic transcranial Doppler examination : Technique and anatomy.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1999;19.
    · 10. Beal MF, Park TS, Fisher CM. Cerebral atheromatous embolism following carotid sinus pressure. Arch Neurol 1981;38:310-312.
    · 11. Hilal H, Massumi R. Fatal ventricular fibrillation after carotid sinus stimulation. N Engl J Med 1966;275:157-158.
    · 12. Gosling RG, King DH. Continuous wave ultrasound as an alternative and complement to X-rays in vascular examinations. In RE Reneman (ed), Cardiovascular Applecations of Ultrasound. Amsterdam : North-Holland, 1974;266-281.
    · 13. Hennerici M, Rautenberg W, Sitzer G, Schwartz A.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for the assessment of intracranial arterial flow velocity. Part I : examination technique and normal values. Surg Neurol 1987;27:439-448.
    · 14. Pourcelot L. Diagnostic ultrasound for cerebral vascular diseases. In I Donald, S Levi (eds), Present and future of Diagnostic Ultrasound. Rotterdam : Kooyker, 1976.
    · 15. Lindegaard KF, Nornes H, Bakke SJ, Sorteberg W, Nakstad P. Cerebral vasospasm after subarachnoid haemorrhage investigated by means o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Acta Neurochir Suppl (Wien). 1988;42:81-84.
    · 16. Vriens EM, Kraaier, Musbach M, Wieneke GH, van Huffelen AC. Trancranial pulsed Doppler measurements of blood velocity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 reference values at rest and during hyperventilation in healthy volunteers in relation to age and sex. Ultrasound Med Biol 1989;15:1-8.
    · 17. Grolimund P, Seiler RW. Age dependence of the flow velocity in the basal cerebral arteries – a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study. Ultrasound Med Biol 1988;14:191-198.
    · 18. Ringelstein EB, Kahlscheuer B, Niggemeyer E, Otis SM.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 anatomical landmarks and normal velocity values. Ultrasound Med Biol 1990;16:745-761.
    · 19. Larsen FS, Olsen KS, Hansen BA, Paulsen OB, Knudsen GM. Transcranial Doppler is valid for determination of the lower limit of cerebral blood flow autoregulation. Stroke. 1994;25:1985-1988.
    · 20. Brass LM, Pavlakis SG, DeVivo D, Piomelli S, Mohr JP. Transcranial Doppler measurements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Effect of hematocrit. Stroke. 1988;19:1466-1469.
    · 21. Brass LM, Prohovnik I, Pavlakis SG, DeVivo DC, Piomelli S, Mohr JP. Middle cerebral artery blood velocity and cerebral blood flow in sickle cell disease. Stroke. 1991;22:27-30.
    · 22. Muller M, Voges M, Piepgras U, Schimrigk K. Assessment of cerebral vasomotor reactivity by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and breath-holding. A comparison with acetazolamide as vasodilatory stimulus. Stroke. 1995;26:96-100.
    · 23. Zanette EM, Agnoli A, Cerbo R, Chiarotti F, Roberti C, Buzzi MG et al. Transcranial Doppler (TCD) after nitroglycerin in migraine without aura. Headache. 1991;31:596-598.
    · 24. GB Ahn, CS Chi, CS Chung. Recording of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using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in normal subjects. J Korean Neurol Asso 1991;9:277-285.
    · 25. Kim GW, Sohn YH, Lee SM, Lee JH, Kim DS, Kim JY et al. The reference valu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CD measurements in 200 normal Korean adults. J Korean Neurol Asso 1995;13:815-824.
    · 26. SJ Cho, CS Chung, KH Lee. Reference values o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measurements of healthy adults with normal MRI and MRA findings. J Korean Neurol Asso 1998;16:264-270.
    · 27. Vajda Z, Buki A, Veto F, Horvath Z, Sandor J, Doczi T. Transcranial Doppler-determined pulsatility index in the evaluation of endoscopic third ventriculostomy (preliminary data). Acta Neurochir (Wien). 1999;141:247-250.
    · 28. Hadani M, Bruk B, Ram Z, Knoller N, Spiegelmann R, Segal E. Application o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for the diagnosis of brain death. Intensive Care Med. 1999;25:822-828.
    · 29. Kader A, Young WL, Massaro AR, Cunha e Sa MJ, Hilal SK, Mohr JP et al. Transcranial Doppler changes during staged surgical resection of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 report of three cases. Surg Neurol. 1993;39:392-398.
    · 30. Arslantas A, Gucuyener D, Uzuner N, Cosan E, Durmaz R R, Atasoy MA et al. Assessment of cerebral blood flow velocities in pre and post angiographic states with transcranial doppler. Neurol India. 2002;50:459-461.
    · 31. Chernyshev OY, Vein AM, Mathew NT, Kolosova OA, Kailasam J, Frolov A et al. Blood flow velocity and pulsatility index difference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migraine. Headache. 2001;41:704-70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