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욱 영화평론가 (CINE21.COM , 2005년 4월 20일 기사 : `<씨네21> 10주년 기념 영화제` 中 )
· 김선아,「한국영화의 시간, 공간, 육체의 문화정치학 :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를 중심으 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문미경,「한국 영화 속 주인공의 `자살`에 관한 연구 : Text 분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문재철,「영화적 기억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 : Post-Korean New Wave Cinema를 중심으로」, 중앙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남소영,「문학과 영화의 서사성 연구: 이창동 문학과 영화의 `내러티브` 비교 분석」,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2
· 최지호, 「이창동 작품의 서사학적 연구」, 도솔어문 vol.15, 2007
· 허성미, 「이창동 작품 시나리오 분석 :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주진숙, 「< 박하사탕 > 과 90 년대 한국영화 」,저널리즘비평 vol.29, 2000
· 정우숙, 「영화 <박하사탕>에 나타난 극적 구조의 다층성 」, 이화어문논집 vol.18, 2000
· 하경수, 「다시읽는 박하사탕」, 學生生活硏究 제 11집 , 2002,
· 정호근, 「박하사탕과 철도원 -`전체는 비진리이다` - 자아 형성과 권력/지배」, 사회비평 제 24권, 2000
· 이창재, 「프로이트의 신경증 원인론:외상, 환상, 사후작용」, <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vol.6 no.2, 2004
· 프로이트,『쾌락원칙을 넘어서』, 박찬부역, 열린책들, 1997
· 프로이트, 『문명속의 불만』, 김석희역, 열린책들, 1997
· 프로이트,『정신분석 입문/꿈의 해석』, 김양순옮김,동서문화사,2007
· 하경수, 「다시 읽는 박하사탕」, 學生生活硏究 제 11집 , 2002,
· 미국정신분석학회편, 『정신분석용어사전』이재훈옮김,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 프로이트,『정신분석강의 (하)』임홍빈, 홍혜경옮김, 열린책들, 1997
· 프로이트,『문명속의 불만』김석희옮김, 열린책들, 1997
· 최지호,「이창동 작품의 서사학적 연구」, 도솔어문, 2001
· http://www.fulssi.or.kr/bbs/view.php?id=reading&page=4&sn1=&d
· 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name&desc=desc&no=213)
· 이부영, 『그림자』, 한길사, 1999
· 이부영,『자기와 자기 실현』, 한길사, 2002
· 프로이트,『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이한우옮김, 열린책들, 1997
· 김정수, 『영화에 보내는 러브레터』,인간사랑,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