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조직심리] 멘토링이 정서적 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별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9.05.15 최종저작일 2009.05
23P 미리보기
[조직심리] 멘토링이 정서적 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별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소개

    [조직심리A+] 멘토링이 정서적 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별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멘토링(Mentoring)
    가. 멘토링의 개념
    나. 멘토링의 기능
    다. 멘토링의 효과
    라. 멘토링의 유형(공식적인 멘토링과 비공식적인 멘토링)
    마. 멘토링 프로그램
    2.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가. 변혁적 리더십의 개념
    나.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
    3.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가. 조직몰입의 개념
    나. 조직몰입의 유형
    4.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가.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나.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소
    5. 멘토링과 조직몰입
    6.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몰입
    7. 멘토링과 조직시민행동
    8.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9. 멘토링과 변혁적 리더십
    Ⅲ. 연구 설계 / 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가. 멘토링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나. 멘토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다. 멘토링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 요소별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
    라. 멘토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별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
    2. 연구방법
    가. 표본설계
    나. 변수의 조작적 정의
    다. 분석 방법
    Ⅳ.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Ⅲ. 연구 설계 / 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본 연구는 멘토링과 정서적 몰입 및 조직시민행동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며, 조직의 리더십 특성인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이 멘토링과 정서적 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조절 변인으로서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독립변인으로 설정된 멘토링은 Kram(1985)의 연구를 바탕으로 공식적인 멘토링의 한 종류인 외부 컨설팅 업체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차용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서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설정하였다.
    양혜련(2002)의 연구에 따르면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요인과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여기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상사에 대한 유대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윤상돈·추헌(2006)의 연구를 보면 조직몰입을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정서적 몰입에는 변혁적 리더십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고 지속적 몰입에는 거래적 리더십만이 설명변수가 되었다. 규범적 몰입에는 두 가지 리더십 유형이 모두 영향을 미쳤지만 상대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큰 영향을 나타냈다.
    Mathieu & Zajac(1990)는 변혁적 리더십이 정서적인 요인과 관련된 몰입은 향상시키지만 정서와는 큰 관계가 없는 지속적 몰입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정서와 어느 정도 관계가 있는 규범적 몰입에는 약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이 다른 리더십 유형에 비해 조직몰입의 하위차원(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 중 정서적 몰입에 많은 관련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최근 변혁적 리더십이 기업에서 중시하는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애착, 가치관 수용에 대한 요구와 부합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멘토링 프로그램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변혁적 리더십이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Graham(1989)의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의 성과로서 조직시민행동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결과와 Podsakoff, Mackenzie, Moorman & Fetter(1990) 등이 실시한 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 가운데 개별적 배려만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이 멘토링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절 변인으로서 작용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하지만 변혁적 리더십은 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라는 세 가지 구성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에 따라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전체가 아니라 변혁적 리더십을 세 가지 구성요소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참고자료

    · 김정원, 채순화(2005). “변혁적 리더십과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직접효과와 조 절효과 검증”, 한국 인사·조직학회, 제8권 pp. 471 - 495.
    · 서준호, 윤위석(2003). 리더십 유형이 신뢰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양혜련(2006). "상사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비서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 논총, 제11원 pp. 77 - 99.
    · 윤상돈, 추헌(2006).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유형에 대한 종업원의 지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경영사학. 제21권.
    · 윤종록(2000). “한국기업의 멘토 관계”, 한국동북아논총, 제14권 pp. 91 - 120.
    · 이정재(2003). 신입사원의 멘토링과 조직적응 : 적극성을 조절변수로.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 이진규, 김한얼(1993). 조직사회화과정에서 멘토의 역할, 경영학연구, 제22권.
    · Bass, B.M.(1990).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zational Dynamics, Vol.18, Winter
    · Bass, B.M.&Arolio, B.J(1994).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ousand Oaks, CA: Sage.
    · Hegstad, C. D.(1999). "Formal Mentoring as a Strategy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 A Review of Research",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pp 383~390.
    · Higgins, M. C., & Kran, K. E. (2001). Reconceptualizing Mentoring at Work : A Developmental Metwork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6, 264-288.
    · Joiner T. A, Bartram, Grarreffa T.(2004). "The Effects of Mentoring on Percieved Career Success,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Business, Cambridge, pp 164~170.
    · Kanter, R. M., (1968). "Commitment and Social Organization: A Study of Commitment Mechanism in Utopian Communis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33, 499-517.
    · Kram, K. E. (1983). Phases of the Mentor Relationship. Ac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6, 608-625.
    · Kram, K. E. (1985). Mentoring Alternatives : The Role of Peer Relationships in Career Develop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mal, Vol. 28, 110-132.
    · Meyer. J. and Allen. N. J. (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view, Vol 1.1, pp 61-89.
    · Noe, R. A. (1988). An investigation of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Assigned Mentoring Relationshiips. Personnel Psychology. Vol. 41, 457-479.
    · Organ, D. W. & Ryan, K. (1995). A meta-analytic review of attitudinal and dispositional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sonnel Psychology, Vol. 48, 775–802.
    · Porter, L. W., R. M. Steers, R. T. Mowday, and P. V. Boulian,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59. pp 603-609
    · Scandura, T. A.(1992). Mentorship and Career Mobility :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3, 169-174
    · Steers R, M(1977). "Antecedents Outcomes fo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ly. 22
    · Zey, M. G., (1984). The Mentor Connection (Homewood, !L:Irwin), 11-16.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