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정보화 사회의 개념과 정보 통신 윤리의 필요성
1. 정보화 사회란?
2. 정보 통신 윤리가 왜 필요한가?
Ⅲ. 정보 통신 기술의 이중성
Ⅳ. 정보 통신 부문에서의 비윤리적 문제 발생의 원인
Ⅴ. 정보 통신 윤리의 정체성
1. 정보 통신 윤리의 개념과 부재 현상
2. 정보 통신 윤리의 정체성
3. 세버슨(Severson, 1997)의 정보 윤리학의 네 가지 원리
Ⅵ. 정보 통신 윤리 의식의 확산을 위한 정책 대안
1. 법률적 측면
2. 시민 운동적 측면
3. 대중 매체 및 통신 사업자 측면
4. 교육적 측면
5. 국제 협력적 측면
Ⅶ. 맺음말
본문내용
지난 1980년대 말부터 '정보화'라는 용어는 마치 약방의 감초처럼 우리 사회에서 지배적인 미래 사회 슬로건으로 자리를 잡아 왔다. '정보화 사회 대비'는 정부의 국정 목표인 동시에 마치 과거 전체주의 사회에서 주민을 동원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띠는 가운데 그간 누적되었던 우리 사회의 모든 문제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만병 통치약인 것처럼 오인되고 있다. 우리는 어떠한 정보 사회로 나아갈 것인가라는 철학적 성찰을 게을리 한 채, '정보화'라는 용어만 들어가면 무조건 투자부터 해 놓고 보자는 식의 성급한 하드웨어 위주의 그리고 양 위주의 정보화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산업화를 완성하기도 전에 정보화를 추진해야 하는 이중적 부담을 안고 있었던 우리 사회의 정보화는 한 마디로 '거품 정보화'에 불과한 것이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