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본론
가. 기존 대구의 산업단지
1.산업단지 개발실적
2.각 산업단지별 조성현황
나. 미래지향적 대구의 산업
밀라노프로젝트
Ⅰ.밀라노프로젝트의 추진배경
Ⅱ.지역섬유산업의 당면현황
Ⅲ.밀라노프로젝트 추진방향 및 사업내용
Ⅳ.밀라노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방향
Ⅴ.한국 섬유산업의 활로
위천국가산업단지
Ⅰ.입지조건
Ⅱ.현황과 문제점
Ⅲ.사업내용
Ⅳ.주요 유치업종
Ⅴ.외국인 투자촉진 특정지구 개설
Ⅵ.추진전략
대구 산격동 종합유통단지
Ⅰ.조성배경과 목적
Ⅱ.대구 종합유통단지의 지리적 위치
Ⅲ.대구 종합유통단지의 현 산업과의
연계성 및 앞으로 나아갈 할 방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구의 산업구조(취업자기준)는 1994년 기준으로 농림어업 1.2%, 광공업 30.3%,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68.5%로 되어 있어, 2, 3차산업이 98.8%를 차지하는 전형적인 도시형 산업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비중이 가장 큰 3차산업이 유흥·음식업 등 단순 소비형 구조로 되어 있어 산업구조가 취약한 실정이다.대구지역 광공업의 산업 중 분류별 비중을 보면, 섬유산업이 사업체 수에서 38.8%, 종사자수에서 48.9%, 부가가치에서 41.6%, 급여액에서 47.7% 등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지역 주종산업임을 나타내고 있다. 기계장비업은 사업체 수에서 24.8%, 종사자수에서 18.5%, 급여액에서 17.9% 등의 비중을 보여 산업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업도 종사자수의 7.6%, 급여액의 8.2% 등의 비중을 보인다. 이와 같이 대구지역의 산업구조는 섬유산업 그 중에서도 합섬 직물업의 편중도가 높다. 이는 전문화의 이점도 있지만, 섬유산업의 경기가 지역경제 전체의 경기를 좌우하는 부작용도 있다. 따라 제조업의 구조가 취약하다. 또한 국가공단의 부재, 21세기형 선장주도산업의 부재 등을 대구 산업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대구섬유산업을 주도 해온 기존 공단들과 새롭게 추진 중인 미래지향적 산업을 위한 밀라노프로젝트, 위천국가산업단지, 대구종합물류유통단지를 입지여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참고 자료
『밀라노 프로젝트』, 대구광역시 섬유진흥과『대구를 키운 산업 대구가 키웁니다.』, 대구광역시 홍보자료
『밀라노를 벤치마킹하자!』, 대구광역시 홍보자료
『{밀라노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과 한국섬유산업의 활로』, 대구광역시 정보담당관실
『최근 지방경제 동향과 지방산업의 장기발전 방향』, 배광식(대구광역시 경제산업국장)
『대구지역경제의 현황과 주요과제』, 김영재(경일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
『산업단지 개발현황』, 대구광역시 경제정책과
『위천국가산업단지』, 대구광역시, 1996
『대구경제활성화계획』, 대구광역시, 대구경제활성화기획단, 1997
『大邱市政 미래를 향하여 세계를 향하여』, 대구광역시, 1997
{산격동대구종합유통단지},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2001
{Taegu International Logistics Complex},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2001
{귀속기업의 불하와 1950년대 대구지역 섬유산업}, 박희진, 학위논문
{대구·경북 섬유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주동우
{지역산업육성을 위한 산업단지조성 지원방안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최해남
{해외직접투자에 의한 산업공동화의 가능성 분석 :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중심으로} 이경균
{산업구조 고도화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중심으로} 최우창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차성표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http://www.metro.taegu.kr/
대구종합유통단지 홈페이지 http://www.netw.net/
밀라노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www.milanoproject.taegu.kr/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산업단지계획 승인절차 9페이지
[환경경제] 낙동강 위천공단의 환경분쟁 해결방안 21페이지
[문화산업] 지방문화산업단지의 효율적 조성방안 65페이지
산업과학도시사례-국내 해외사례 31페이지
핀란드울루(노키아) 산업단지와 우리 산업입지에의 시사점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