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문학은 언어를 매체로 하여 인간의 의식과 생활 감정 등을 표현한다. 그것은 체험을 표현하는 것이며, 삶의 외적 현실을 묘사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문학은 그것이 속한 시대와 사회를 벗어날 수 없다.
문학 교육은 단순히 작품을 읽고 해석하는 일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고차원의 기능을 발휘하여 문학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인간의 총체적인 삶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작품 세계에 몰입하여 그 안에 녹아있는 다양한 경험과 감동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문학과 교육이 평면적이고 단선적인 결합이 아니라 그보다 한 단계 상승되고 유기화된 개념으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 교육은 해석 이상의 감상적 차원으로 나아가야 한다.
또한 문학 교육은 교육 목적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을 수용한 부수적 효과로 도덕적 판단력이 얻어지는 것이어야 한다. 그래서 문학 교과는 단순히 가르치는 교과가 아니라 문학적 경험을 바람직하게 돕는 것에 그 궁극적 목표를 두어야 한다. 진정한 가치의 선택과 내면화는 독자 스스로 독서 체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문학의 체험은 자유롭게 개방된 독서 과정을 통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구인환 외,『문학교육론』, 삼지원, 1989, p.36.
결국 문학 교육은 문학을 체험시키는 것이며, 문학 체험을 자아와 세계에 투사시킬 수 있는 창조적 독자를 양성함을 목적으로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문학 교육은 교사가 학습 독자에게 이해시키기 위해 텍스트의 전체 의미 즉 작품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숨은 의미를 독자에게 해설해 주는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더구나 고전 문학의 교육에서 교사는 이해ㆍ감상하도록 교육하지 않고 훈고주석의 대상으로 교육하고 있는 형편이어서 학생들은 입시위주 학습의 하나에 함몰될 뿐이다. 옥정윤,「수용이론의 적용을 통한 학습자 주도적 문학 교육의 실제」, -허생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제31집, 국어교육학회, 1999.
· <단행본>
· 교육인적자원부, 『교사용지도서』, 2003.
· 구인환 외,『문학교육론』, 삼지원, 1989.
· 김명호, 『박지원 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1.
· 김승호, 『고전의 문학 교육적 이해』, 이회문화사, 2000.
·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2003.
· 박기석, 『박지원문학연구』, 삼지원, 1984.
· 변영계ㆍ김광휘,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0.
· 이가원, 『연암소설연구』, 을유문화사, 1965.
· 이석래, 『조선후기소설연구』, 경인문화사, 1992.
· 정문성, 『협동학습이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2.
· 차용주, 『연암연구』, 계명대출판부, 1984.
· <논문>
· 김혜향, 「고등학교 고전소설 교육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류문정, 「허생전의 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백팔목, 「허생전 학습지도 방안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서경아, 「창조적 跋文을 통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서종문, 「고전문학 교육의 과제와 전망」, 국어교육연구 제33집, 국어교육학회, 2001.
· 신보영, 「고등학교 고소설 교육 연구-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옥정윤, 「수용이론의 적용을 통한 학습자 주도적 문학 교육의 실제」, -허생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제31집, 국어교육학회, 1999.
· 옥정윤, 「허생전의 교육방법 연구-수용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유민정, 「허생전의 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이미진, 「고전소설 수록 양상의 적정성 분석과 바람직한 교재화 방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이상옥, 「허생전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 장원석,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춘향전> 교육의 실제」, 국어교육연구 제32집, 국어교육학회, 2000.
· 정성란, 「고등학교 고전 소설 교육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황용강, 「허생전소고」, 한국고전소설학회, 계명대학교출판부,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