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진시황
- 최초 등록일
- 2001.12.12
- 최종 저작일
- 2000.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소개글
왠만하면 자기가쓰는게 더 좋겠져,..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ⅰ} 시황제(始皇帝)의 출생, 진(秦)의 통일과 상앙의 변법
[1] 진시황(BC 259∼210/209)의 출생에서 진의 통일까지
[2] 상앙의 변법과 진의 통일
{ⅱ} 시황제의 통일 정책
[1] 시황제의 호칭
[2] 중앙집권 제도의 확립 - 군현제(郡縣制)
[3] 무기의 몰수, 문자의 통일
[4] 사상통일정책 - 분서갱유(焚書坑儒)
[5] 흉노정벌 - 만리장성 구축
[6] 궁전과 분묘의 건설
{ⅲ} 시황제의 죽음
{ⅳ} 시황제의 평가
Ⅲ. 결 론
본문내용
진시황은 중국 진(秦)나라의 황제로서, 성은 영()이며 이름은 정(政)이다. 중국 북서부에 위치한, 전국시대 진나라의 군주인 장양왕(莊襄王)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장양왕은 조(趙)나라에 볼모로 붙들려 있었는데, 그의 어머니는 부유한 상인 여불위(呂不韋)의 애첩이었다. 여불위는 경제적인 이익을 위해 원래 후계자로 지명되지 않았던 장양왕을 재위에 올려놓았다. 정은 13세이던 BC 246년 재위에 올랐다. 이때 진(秦)은 가장 강력한 나라였고, 중국의 나머지 나라를 지배하에 두려고 했다. 중원의 국가들은 진을 야만국으로 여겨 멸시했지만 산지로 이루어진 서부 변방에서의 강력한 위치 때문에 진은 법가, 즉 전체주의적인 국가 철학을 바탕으로 강력한 관료체제를 갖춘 정부와 군사조직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참고 자료
1. 中國歷史硏究. 『中國歷史.』上. 서울:도서출판 新書苑, 1993. pp.184-195
2. 강영수. 『재미있는 중국사 여행 1권.』 하유상 감수. 서울:예문당, 1994. pp.207-226
3. 葛劍雄. 『中國統一·中國分裂.』 淑史硏究會 역. 서울:도서출판 新書苑, 1996. pp.33-39
4. 앙리 마스 페로. 『고대중국.』 김선민 역. 서울:도서출판 까치, 1995. pp.148-159
5. 김영진. 『중국오천년사.』上. 서울:대광서림, 1993. pp.270-279
6. 볼프강 에버하르트. 『중국의 역사.』 최효선 역. 서울:문예출판사, 1997. pp.88-97
7. 마쯔마루 미찌오 외. 『중국사개설.』 조성을 역. 서울:한울아카데미, 1989. pp.76-84
8. 伯贊. 『中國全史.』 이진복·김진옥 역. 서울:학민사, 1990. pp.103-109
9. 안정애·양정현. 『중국사 100장면.』 서울:도서출판 가람기획, 1993. pp.56-60
10. 徐連達 외. 『중국통사.』 중국사연구회 역. 서울:청년사, 1989. pp.141-155
11.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서울:청아출판사, 1986. pp.305-328
12. 中國歷史硏究會. 『중국사 103장면.』 서울: 오상출판사, 1995. pp.114-123
13. 佐伯富. 『세미나 중국사.』 서울:민족문화사, 1982. pp.65-70
14. 斗山東亞 百科事典 硏究所.『두산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