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산시의 역사
⑴ 유래
⑵ 연혁
⑶ 각동(행정동)의 유래
2. 안산시의 현황 및 특성
⑴ 상징
(2) 위치
⑶ 인구현황
(4)산업 현황
(5). 안산시의 문화재와 문화행사
3. 이론 적용 - 다핵이론
4. 안산시의 문제점
5.결론
본문내용
안산은 원래 고구려의 장항구현(獐項口縣) 또는 고사야홀차현(古斯也忽次縣)인데 신라 진덕왕이 장구현으로 고쳤으며 신문왕때 장구군(獐口郡)으로 승격되었다. 고려 초기에 안산현(安山縣)으로 고쳤고, 현종 9년(1018)에 水川(水原)의 속현(屬縣)으로 되었다. 충렬왕 34년(1308)에 덕종, 정종, 문종이 탄생한 명예로운 하여 안산군(安山郡)으로 승격되었고 이후 지사(知事)의 다스림을 받았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 13년(1413) 전면적인 비방통치 조직의 개편이 있었고, 효종 7년(1656)에 이곳 초지진(草芝鎭)을 강화도로 옮기면서 종래 안산의 초지진을 1초지, 강화를 2초지라고 부를만큼 서해안의 주요 요새지로 삼았었다. 안산이란 지명 외에 세조때부터는 연성(蓮城)이라고도 흔히 불리었는데 이는 세조 9년(1463) 문신이며 농학자인 강희맹(姜希孟)이 중추원부사로서 진헌부사(進獻副使)가 되어 명나라 남경에 갔다가 귀로에 전당(錢塘)에서 연꽃씨를 가지고 와서 안산 관곡지(官谷池)에 시험재배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는데 그 뒤부터는 안산의 별호를 연성(蓮城)이라 했다고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