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군의 역사와 문화] 실학사상
- 최초 등록일
- 2001.11.28
- 최종 저작일
- 2001.11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의 실학사상에 관한 글
목차
Ⅰ. 서 론
Ⅱ. 실학의 발생
1. 지봉 이광
2. 반계 유형원
(1) 우주관
(2) 전제 개혁론 (공전론)
(3) 상공업론
(4) 평등사상
3. 서계 박세당
(1) 근본 입장
(2) 도덕성으로서의 인간성
(3)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인간상 정립
(4) 인간관의 특징
4. 대용 김석문
(1) 지구에 대한 이해
(2) 우주의 구조에 대한 이해
(3) 천체의 운행과 지구의 자전에 대한 이해
(4) 자전설의 전거
Ⅲ. 실학의 전개
1. 성호 이익
(1) 이일원론
(2) 인식론
(3) 전제 개혁론 (균전론)
2. 담헌 홍대용
(1) 이론과 실천의 통일
(2) 사회사상
3. 연암 박지원
(1) 우주론
(2) 개혁사상
4. 초정 박제가
(1) 한전론과 사회개혁 및 문화 자주론
(2) 상업 진흥론
Ⅳ. 실학의 심화
1. 다산 정약용
(1) 이기철학
(2) 민본적 민주론
(3) 여전론
(4) 문화 주체론
2. 동무 이제마
Ⅴ.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진왜란을 비롯한 여러 차례 외국의 침략으로 우리는 많은 피해를 입어 민생은 영락 되었으나 위정자들은 중앙권력의 약화를 미끼로 사리사욕을 채우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리하여 백성에 대한 착취와 수탈은 더욱 강화되고 타락한 통치자들은 당쟁만 일삼아 민생문제 해결에는 관심이 없었으며 봉건관료의 치부 수단인 토지의 겸병과 정권의 쟁탈에만 관심이 집중되고 책동과 유혈사건을 일으켰다. 또 그들은 민생문제와 관계가 없는 문제들을 가지고 공리공담과 논쟁을 거듭하여, 이로 인한 민생의 영락과 피폐는 더욱 곤궁을 극할 때 우국애민의 입장에서 부폐 타락한 위정자들의 무능을 신랄하게 폭로 비판하고 민주사상을 주장한 것이 실학자들이다. 선진적인 경세제민의 사상을 제기하여 절박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실사구시와 이용후생의 학풍을 일으켰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