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역사학의 성립
- 최초 등록일
- 2023.02.26
- 최종 저작일
- 2004.08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머리말
Ⅱ. 개혁기의 역사학
Ⅲ. 박은식의 역사학
Ⅳ. 신채호의 역사학
Ⅴ.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역사학은 시대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우리의 근대 역사학은 우리나라 근대사의 제 특징의 기반 위에서 성립되었다. 19세기 후반기의 한국사회는 봉건적인 사회체제를 타도하고 새로운 근대사회를 형성하는 과정에 있었고, 제국주의적 진출에 대응하여, 그들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것을 막지 않으면 안 되는 일이었다. 여기에 우리 민족에게는 강렬한 민족의식이 요청되고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한 저항이 요청되었다. 이 시기 우리사회의 기본 과제는 동시에 역사학 그 자체의 과제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역사학에서는 이와 같은 역사적 현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역사의식이 필요하였다.
Ⅱ. 개혁기의 역사학
근대사학이 성립하는 것은 중세적인 역사서술인 왕실 중심의 서술이나 명분론 그리고 편년체 방식의 서술에서 벗어나, 실증적인 사실에 따른 서술과 인과관계에 의한 서술이 되어야 한다. 광무개혁기의 역사학은 전통적인 역사학을 바탕으로 하면서 새로운 근대역사학의 방법론이 도입되고 있었다. 이 시기 역사가들은 실학사상을 계승하기 위하여 실학파의 업적을 간행하거나 그것을 토대로 한 저술의 형식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실학사상의 학적 기반 위에서 그들의 연구를 진행시켰으며, 그 성과는 통사(通史)와 특수 연구의 두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통사로서 황현의 <매천야록(梅泉野錄)>, 정교의 <대한계연사(大韓季年史)>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이들 저자의 역사의식은 투철하여서 제국주의의 침략행위에 대한 저항과 민족의식도 강렬하였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이들의 저술은 아직 근대 역사학적인 방법에 의한 저술이 되지는 못하고 있었다.
참고 자료
한국사연구회 편, <<한국사학사의 연구>>, <일제시대의 반식민사학론>, 올유문화사
김용섭, 1970, <<한국현대사 6>>, <우리나라 근대사학의 성립>
이만열, 1980, <백암 박은식의 생애와 사상>, 문학과 지성사
이만열, 1980, <단재사학의 배경과 구조>, 문학과 지성사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사상>> 下, 창작과 비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