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의 변화추세와 새로운 사회통합원리의 모색
*태*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머리말2. 사회통합의 의의와 필요성
3. 새로운 사회통합의 원리
4. 사회통합과 미래사회
본문내용
사회통합을 위한 가장 직접적인 정책적 처방은 세계화시대의 개방체제 하에서 급속하게 증대되는 계층간 불평등, 중산층의 몰락, 장기실업자의 누적 등과 같은 문제로부터 피해를 받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확충하고 사회적 시민권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보장의 선진화와 함께 '생산적 복지' 정책이 확립되어야 한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복지정책은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최저의 수준을 기록하였다. 또한 그동안은 시장원리와 수익자 부담원칙이 강조되어 사회보장적 성격이 매우 약했다. 다만, 최근 들어 사회보장의 모범국이라 일컬어지던 서구의 사회민주주의 국가들이 겪는 어려움을 고려해 볼 때, 우리의 나아갈 길은 한국적 정황에 맞는 복지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한국적 복지체제를 개발하는 데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에 대한 일방적인 시혜보다는 취업의욕을 고취시키고 인적 자원의 개발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시행이 필수적이다. 즉, 빈곤계층이나 저소득자를 위해 설정한 최저 빈곤선을 밑도는 집단에 대해서는 생활보호대책을 마련하고, 장애인이나 소년소녀가장, 노년층 등의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대책을 다양화하면서, 동시에 실업자들이 전직훈련이나 재교육을 통해 재취업에 필요한 인적 자본을 확보하여 적극적
참고 자료
권태환·이재열. 1998. "사회운동조직간 연결망,"《한국사회과학》20권 3호.김동춘. 1996. "세계화와 지방화, 그 도전들," 한완상·권태환 편,《전환기 한국의 사회문제》민음사.
박찬웅. 1999. "신뢰의 위기와 사회적 자본,"《사회비평》19호.
박효종. 1999. "한국 개혁정치에 대한 신체계론적 조명,"《에머지 새천년》 창간호.
서이종. 1998.《지식·정보사회학: 이론과 실제》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진영 편. 1998.《세계화시대의 사회통합》나남.
이재열. 1999. "IMF시대 노사관계의 변화," 신용하 외,《IMF체제의 사회과학적 진단》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재혁. 1999. "사회적 통제의 정치경제학: 규범과 관습 그리고 교환," 김일철 외,《한국사회의 구조론적 이해》아르케.
조형제. 1996. "산업사회에서 미래사회로," 한완상 편,《한국사회학: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와 전망》민음사.
차재호. 1994. "지난 백년간의 한국인의 가치, 신념·태도, 및 행동의 변화,"《한국심리학회지: 사회》8권 1호.
홍 훈. 1999. "세계자본주의와 한국의 자본주의: 위기와 미래,"《사회비평》 19호.
Ghai, Dharam and Cynthia Hewitt de Alcantara. 1994. "Glob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atterns and Processes," Occasional Paper, No.2, World Summit for Social Development, UNRISD.
Inglehart, Ronald. 1990.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Martin, Hans-Peter and Harald Schumann. 1997. Die Globalisierungsfalle, 강수돌 역,《세계화의 덫》영림카디널.
Milgrom, Paul and John Roberts. 1992. Economic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Wolfe, Marshall. "Social Integration: Institutions and Actors," Occasional Paper, No.2, World Summit for Social Development, UNRISD.
Yee, Jaeyeol. 1999. "Public Space in Korea: Overdevelopment of Personal Trust, Underdevelopment of Public Trust," Paper Presented at the Beijing Forum on Public Philosophy: The Public Space and Public- Private Issues in Asia,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May.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북한사회의이해] 북한의 정치 9페이지
- [노인복지]우리나라 재가 복지서비스,노인부양, 노인문제의 실태 분석과 외국의 사례, 문제점, 노인 .. 21페이지
- [신체발달] 노년기의 특징과 인지발달 12페이지
- [인문]샤르트르의 지식인론 비판 22페이지
- [요약] 노년기의 의미와 즐거움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