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한국현대정치와 박정희
2) 연구 목적 및 접근방법
Ⅱ. 박정희의 생애와 퍼스낼리티
1) 삶의 궤적
2) 퍼스낼리티
Ⅲ. 신념체계 분석
Ⅳ. 대미관계에 끼친 영향
1) 1970년대 한반도 정세
2) 박정희와 카터
3) 평가 : 자주성과 정권안보
Ⅴ. 박정희 시대가 남긴 부정적 유산
1) 민주화의 진통
2) 냉전형 발전의 한계
Ⅵ. 결론
1)리더십적 접근의 의의
2)박정희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전망
본문내용
Ⅰ. 序論
1) 한국 현대정치와 박정희
「...... 조국 근대화의 기수로 오천 년 이래의 가난을 물리치시고 자립명제와 자주국방의 터전을 닦으시어 세계속의 풍요한 한국을 부각시켰으며 겨레의 염원인 평화적 통일의 기틀을 마련하시는 등 민족 중흥을 이룩하신 영도자로서 민족사상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위대한 업적을 남기시고 1979년 10월 26일 서울에서 향년 61세로 서거, 삼천칠백만 온 국민의 애도속에서 11월 3일 국장으로 국립묘지에 안장되시다......」
- 동작동 국립묘지 古 박정희 대통령 묘비-
무릇 한 개인에 대한 평가가 꼭 일치하지 않고 분분한 것은 당연한 일일 테지만 박정희만큼 옹호에서 비판으로 양극단의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있는 인물도 역사에서 드물 것이다. 그것은 또한 박정희라는 인물이 지니는 '문제성'- 그 만큼 논란의 여지가 많고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 많음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나 학문적 관심보다는 일반대중의 향수나 가벼운 저널리즘적 접근만이 유행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상황이고 보면 박정희에 대한 관심 못지않게 그에 대한 좀 더 세련된 학문적 연구와 이론화작업이 앞으로 필요하지 않나 보여진다. 한국정치사에 있어서 박정희정권에 대한 평가는 기존의 연구를 넘어서지 못하는 답보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박정권은 정치적으로는 별로 논할 거리가 없는 , 조금 심하게 말하면 논할 가치가 없는 대상이며 오히려 경제발전의 측면에서만 상대적으로 더 많은 조명을 받아 온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박 정권에 대한 정치적 수사는 독재, 관료적 권위주의 , 민주주의의 억압과 퇴행 등 몇 개 안되는 어휘로 '아주'간단히 정리되어지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기실 박정권의 수혜자들도 주목할 만한 반론을 제기하지는 않는다. 단지 경제적 발전만이 두드러져 보이는 것이다. 마치 우리가 서양 중세를 암흑기라 부르면서 대수롭지 않게 건너뛰듯이 말이다. 그러나 최근들어서 '박정희 신드롬'이라 할 만큼 박정희 개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조명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아직 인간 박정희에 대한 맹목적 미화나 비난수준을 넘어선 정치과정에서 주도적 변수로 작용한 요인이라는 맥락에서의 연구는 미진한 듯 보인다.
2) 연구 목적 및 방법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본인은 먼저 박정희라는 개인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전제에 입각한 후 그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박정희의 퍼스낼리티와 특히 신념체계를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참고 자료
김대환 , 「박정희 정권의 경제개발:신화와 현실」, 역사비평 1993/겨울호
박정희 , 「우리 민족의 나아갈 길」, 동아출판사, 1963
박정희 , 「국가와 혁명과 나」, 지문각, 1963
정경모 , 「박정희」, 역사비평 1991/여름
정재경 , 「위인 박정희」 , 집문당 ,1997
정정길 ,「대통령의 경제 리더쉽: 박정희ㆍ전두환ㆍ노태우정부의 경제정책관 리」, 한국경제신문사 , 1994
조갑제 , 「박정희」, 까치 , 1992
최장집 , 「박정희정권과 한국현대사」, 『대화』 제 5호 , 1995
후쿠다 쓰네아리, 「고독한 사람 박정희」, 김성진 외, 『박정희 시대; 그것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는가』, 조선일보사, 1994
한국정치연구회 , 「박정희를 넘어서」, 푸른숲, 1998
양성철 , 「분단의 정치」, 한울, 1987
한승조 , 「박정희 붐, 우연인가 필연인가」 , 말과 창조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