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복지론] 영국산업복지사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3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유용하게 써주세요.
레포트 다운에도 에티켓이 있슴다.
목차
Ⅰ. 시작하면서
Ⅱ. 산업복지 개념 성립 이전
1. 중세의 사회사업
1) 장원의 사회사업(박애주의)
2)길드의 사회사업
2. 중상주의 시대의 산업복지정책
3. 생성기의 산업복지
1) 생성기의 산업복지정책
2) 생성기의 기업복지
Ⅲ. 노동운동의 단계별 산업복지
1. 노동운동의 제 1단계(∼1848) : 과거 회고의 노동운동
1) 노동운동 제 1단계에서의 특징
2) 연표를 통한 고찰
2. 노동운동의 제 2단계 (1848~1880) : 과도기적 단계
1) 노동운동 제 2단계에서의 특징
2) 연표를 통한 고찰
3. 노동운동의 제 3단계(1880년대∼)
1) 노동운동 제 3단계의 특징
2) 연표를 통한 고찰
3) 집권당과 시기별 산업복지정책
Ⅳ. 끝맺으면서
※첨부
강의요약문
로버트 오웬(Robert Owen)
본문내용
산업복지는 노동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노동이 인류와 그 역사를 같이 했음에도 노동자라는 개념이 생겨난 것은 산업혁명 이후로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노동자가 권리의 주체로 인식된 것은 그보다도 더 이후의 일이다. 우리나라는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 하에서 급속한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를 매우 꺼려왔으며, 어쩌면 국민 대다수가 대상자가 될 수 있는 산업복지 또한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영국의 산업복지 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먼저 영국이 산업혁명이 처음 일어나고, 근대적 의미의 복지가 처음 시작된 곳이기에 그 역사가 길고 체계적인데 그 이유가 있다. 또한 영국은 비공산권 국가에서 유일하게 노동당이 정당으로써 정치에 참여하고 있다. 산업복지의 세 주체가 국가, 기업, 노동조합(민간)이라는 사실을 떠올려볼 때 이는 매우 중요한 특징이 된다.
영국의 산업복지 역사는 약 300년에 걸쳐 발전해왔으므로 그 규모가 매우 방대하여 한정된 시간과 분량에서 자세히 알아보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노동운동사를 중심으로 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영국노동운동사 상,하 G.D.H. 코울, 김철수/김천우 옮김. 광민사 1980
산업복지론 곽효문 1997
신경제사 개설 이해주/김호범 박영사 1996
지식경영사회의 노사관계론 김성수 삼영사 2000
영국의 복지정책 이영찬 나남출판사 2000
각국의 노사관계론, 한국노동조합총연맹, 1986
세계노동운동Ⅰ, 백산서당, 1986
서양사회복지사론, 유풍출판사, 1997, 김동국
산업사회와 노동문제, 비과출판사, 이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