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주지주의 시 살펴보기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많은 도움이 되실거예여, 믿을 만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말 열심히 엑기스만 뽑았거든여.
목차
1. 들어가는 글 ( 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
2. 주지주의란 무엇인가
3. 주지주의 작가와 작품
1) 김기림
2) 김광균
4. 나가는 글
본문내용
주지주의란 지성을 중요시하는 창작방법 및 경향을 말한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사회의 혼란과 무질서는 심각한 위기의식을 가지게 하였다. 그리하여 기존의 문화와 전통을 부정하는 반역의 고뇌에서 감각과 관능의 세계로 도피하여 탐미주의 또는 주정주의 쪽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성의 절대적 우위를 강조하고, 유럽문명의 전통을 재생하며 , 정신적 질서를 회복하고자 하는 문학적 태도가 생겨났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지주의는 첫째 지성의 절대적 우위, 둘째 탐미주의, 주의 및 주정의 반대, 셋째 정통적 질서의 회복과 현대문명의 위기극복 이라는 세 가지 기본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성의 '절대적 우위'란 내용에서 보면 문학작품에서의 지적 요소, 시사적 현상, 과학적 사상적 내용 등을 의미하고, 방법 면에서 보면 질서의식에 의거하여 감정이나 본능에 대한 통제나 억제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탐미주의나 주의주의 및 주정주의의 반대란 낭만주의나 센티멘탈리즘과 감정적, 감상적 문학을 좋아하지 않을 뿐 만 아니라, 또 한편 본능적, 영감적 동기를 문학에서 배제하고 의식적 비평적 문학이라야 함을 의미한다.
본능은 직관적이고 무의식적이며 자연발생적이나 주지는 의식적 방법을 중시한다. 여기서 낭만적 천재의 개념도 부정된다. 전통의 회복과 현대문명의 위기극복의 시도는 주지주의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프랑스의 주지주의는 발레리를 정점으로 하고 영국의 주지주의는 흄, 엘리엇, 리드, 헉슬리등으로 대표된다.
참고 자료
없음